한국예탁결제원은 지난해 주가연계파생결합사채(ELB)를 포함한 주가연계증권(ELS) 발행금액이 55조2천700억원으로 전년(62조8천300억원) 대비 12.0% 감소했다고 7일 밝혔다.
발행형태별로는 전체 발행금액 중 공모가 91.6%(50조6천280억원), 사모가 8.4%(4조6천425억원)를 각각 차지했다. 공모 발행금액은 전년(59조1천989억원) 대비 14.5% 감소했고, 사모 발행금액은 전년(3조6천308억원) 대비 27.9% 증가했다.
최근 5개년 ELS 발행현황

기초자산 유형별로는 국내주식을 기초자산으로 하는 종목형 ELS가 29조8천407억원으로 전체 발행금액의 54.0%를 차지했다.
지수형(국내 및 해외지수) ELS는 19조6천718억원으로 발행금액의 35.6%를 차지했다.
S&P500를 포함하는 ELS는 전년(27조9천354억운) 대비 53.6% 감소한 12조9천724억원이 발행됐고, EURO STOXX 50을 포함하는 ELS는 전년(25조5천723억원) 대비 54.0% 감소한 11조7천649억원이 발행됐다.
HSCEI를 포함하는 ELS는 전년(5조3천973억원) 대비 81.9% 감소한 9천782억원이 발행됐고, NIKKEI 225를 포함하는 ELS는 전년(11조1천720억원) 대비 69.2% 감소한 3조4천447억원이 발행됐다.
KOSPI 200을 기초지수에 포함하는 ELS는 전년(18조2천700억원) 대비 1.8% 증가한 18조5천943억원이 발행됐다.
발행회사별로는 22개 발행회사 중 상위 5개 증권사인 한국투자증권, 신한투자증권, NH투자증권, 미래에셋증권, 하나증권이 전체 발행금액의 51.4%(28조4천197억원)을 차지했다.
상환금액은 71조181억원으로 전년(66조6천654억원) 대비 6.5% 증가했다.
상환 유형별로는 만기상환 금액이 43조2천839억원으로 전체 상환금액의 61.0%를, 조기상환 금액이 24조4천480억원으로 34.4%를 각각 차지했다. 중도상환 금액은 3조 2천862억원으로 전체 상환금액의 4.6%를 차지했다.
2024년 말 기준 미상환 발행잔액은 51조6천억원으로 전년(67조1천352억원) 대비 23.1% 감소했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ELS 발행규모 상위 5개사 (단위 : 억원,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