초격차 물기술 확보, 전국 물 복지 확대 등 미래 먹거리 창출하기 위한 성장 기반 확대 박차
한국수자원공사(K-water)는 지난 28일 대전 본사에서 그간의 성과를 점검하고 향후 전략을 논의하고자 전사경영회의를 개최했다고 29일 밝혔다.
공사에 따르면, 이날 회의에는 윤석대 사장을 비롯한 임원진, 본부장, 부서장 등 총 170여 명이 참석했으며 기후위기 대응 방향, 지방상수도 재도약 방안, 글로벌 성장전략 등의 미래 성장 방향이 논의됐다.
특히, 이 자리에서 윤석대 사장은 "기후위기 시대 빠르게 변화하는 환경에 맞춰 전략 방안을 강화하고 미래 글로벌 물기업으로서 도전을 이어갈 것"을 강조했다. 더불어 기후위기에 대응한 물관리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상기하고 댐 주변 지원사업과 같은 지역사회와 상생 방안이 논의됐다.
한국수자원공사는 2022년 남부지방의 가뭄, 2023년 중부지방 홍수 등 이상기후로 인한 극한 물 위기에 맞서 디지털 기술을 접목한 과학적 물관리와 함께 댐 주변 지역사회 상생과 발전에 기여하고 있다.
관리 중인 37개의 댐을 통해 하류 유역의 안전과 충분한 용수를 공급함은 물론, 수열 등 청정에너지를 활용한 데이터센터 유치와 의료사랑방, 스마트팜 등을 통해 댐 주변 지역사회의 발전 기반을 지속 확대해 갈 계획이다.
물관리 디지털트윈, 인공지능(AI) 정수장, 스마트 관망관리(SWNM) 3대 초격차 기술 수출을 확대하고, 아시아물위원회(AWC) 등 국제협력 플랫폼을 활용한 공적원조(ODA) 사업과 현재 캄보디아 등과 협력 중인 물·에너지 사업 등을 확대해간다는 방침이다.
윤석대 한국수자원공사 사장은 "기후위기로 물관리의 복잡성이 커진 상황에서 기본기에 충실하게 본연의 업무를 수행하고 물관리 기술을 고도화함으로써 선제적으로 국민과 근로자의 안전을 지키고 안정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해야 한다"라며 "물관리 디지털트윈 등 초격차 기술의 수출을 통해 글로벌 물기업으로 스케일업하는 전환점이 될 수 있도록 역량을 결집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한국수자원공사는 지난 5월 글로벌 물관리 전략컨설팅 전문기업 블루필드리서치(Bluefield Research)와 업무협약을 맺는 등 디지털 물관리 기술을 활용한 해외 진출 모델 구상 및 마케팅 전략을 구체화하고 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