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리모토 국장 "자본시장 구조 개혁, 해외투자자들과 긴밀한 소통, 세제 인센티브 체감이 성공 요인"
호리모토 요시오 (Yoshio Horimoto) 일본 금융청 국장은 "기시다 내각 출범 이후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이라는 큰 틀 아래 밸류업 정책들이 이뤄지고 있다며 "먼저, 가계자산을 자본시장으로 유입시키기 위한 광범위한 구조적 개혁이 있었다"고 밝혔다.
금융투자협회가 28일 서울 여의도 콘래드호텔에서 개최한 '자본시장 밸류업 국제세미나'에서 요시오 국장은 '일본 새로운 자본주의 정책의 주요내용과 성과'에서 이같이 밝혔다.
호리모토 요시오 국장은 또한 "총리를 비롯한 정부 고위관계자들의 해외투자자에 대한 긴밀한 소통노력이 있었다"는 점과 "세제 인센티브, 금융교육 등 정책성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성과로 꼽았다.
금융투자협회(이하 협회)가 우리 자본시장의 기업가치 제고(밸류업)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일본의 성공사례를 살펴보고 국내외 전문가들로부터 제언을 들어보는 자리를 마련했다.
이날 세미나는 'The Key to Prosperity: Korea’s Capital Market(번영을 위한 열쇠: 한국 자본시장)'라는 슬로건 아래 금융투자업계 임직원, 정부, 학계 등 약 200명 이상의 자본시장 이해관계자들이 참석했다.
서유석 협회장은 개회사에서 "자본시장 밸류업은 우리 경제에 활력을 불어넣음으로써 저성장, 저출생, 고령화 시대의 돌파구가 될 수 있는 경제 선순환 정책이며, 모두가 윈-윈(Win-Win)할 수 있는 대승적 차원의 문제"라며, "협회와 금융투자업계도 자본시장 밸류업을 이뤄내기 위한 각고의 노력을 지속해나가겠다"고 말했다.
전은조 McKinsey&Company 시니어 파트너는 '한국 자본시장의 밸류업 방안' 기조 발표에서 "한국 기업들의 저평가는 정량적 분석 결과 실증적으로 확인되고 있으며, 수익성 지표 등 재무적 저성과와 크게 관련되어 있다"고 말했다.
그는 한국 자본시장의 밸류업에 있어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와 금융투자회사의 역할을 강조하면서 시장참여자별로 맞춤 제언을 했다. 상장기업들은 자본효율성 제고를 비롯한 이익 지표와 정성적 지표 개선에 노력하는 한편, 기업의 전략·활동에 대한 소통·실행에 나서야 하며, 일반투자는 기업의 밸류업 노력에 대한 감시자로서 장기적 관점의 투자를 확대하고, 기관투자자는 책임있는 인게이지먼트 활동을 지속하면서 투자대상 기업에 대한 장기적 관점의 투자 및 소통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 했다.
아울러 공시 지표의 효과성 검증을 통한 밸류업 프로그램의 실효성을 개선하고 인센티브를 지속적으로 발굴해야 하고, 금융투자회사들은 투자은행(IB) 전문화를 통해 기업금융 사업의 근원적 변화를 도모하는 한편, 가계자산을 자본시장으로 유치하려는 노력을 지속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또한 정부는 산업·금융정책 연계 등 포괄적 접근이 필요하며, 세제 등 제도적 논쟁사항을 조속히 해결할 필요가 있다가 밝혔다.
협회는 이번 세미나에서 논의된 내용과 업계 의견수렴 결과 등을 바탕으로 앞으로 협회와 업계가 자본시장 밸류업을 위해 기여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나갈 예정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