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게임 앱은 208억건, 115억달러 소비
비게임 앱 성장세에 가장 크게 기여한 카테고리는 엔터테인먼트 및 소셜 앱
‘한국 내 급상승한 모바일 앱 상위 차트’ 소비자 지출 부문 1위는 카카오페이지, 2위 유튜브, 3위 웨이브
엔데믹 국면으로 전환하고 있음에도 모바일 앱 경제 성장세는 계속된 것으로 나타났다.
데이터 및 분석 플랫폼 data.ai(구 앱애니)가 '2022년 2분기 모바일 앱 결산'을 발표했다. data.ai의 분석에 의하면 2분기 전 세계 소비자는 iOS 및 구글 플레이를 통해 총 348억 건의 모바일 앱을 다운로드 받고 330억달러(한화 약 44조원)를 소비했다.
이는 코로나19 바이러스가 본격적으로 전 세계를 휩쓴 2020년 2분기의 다운로드수 340억 건, 소비자지출 270억 달러와 비교했을 때 각각 5%, 22% 늘어난 수치로, 전 세계 앱 유저들은 팬데믹 동안 수용한 모바일 라이프스타일을 엔데믹 국면으로 접어든 현재까지 유지하고 여전히 프리미엄 인앱 경험을 위해 지갑을 열고 있음을 나타낸다.
게임 앱을 제외한 2분기 앱 다운로드 수는 208억건, 소비자 지출은 115억달러(15조원)이었다. 이는 지난 1분기 다운로드 수 221억건 대비 마이너스 6%, 소비자 지출 113억 달러 대비 2% 소폭 성장한 수치이다. 이는 전 세계 소비자들이 새로운 앱을 다운로드 받는 대신 기존 앱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했다는 점을 알 수 있다.
한국 내 모바일 유저들의 패턴 역시 동일했다. 팬데믹으로 인해 모바일 수요가 폭발했던 2020년 2분기 대비 다운로드 수는 줄고 지출액은 늘었다.
한국 내 2분기 모바일 앱 소비자 지출은 총 15억2천만달러(2조원)로, 이 중 비게임 앱은 2억1천만달러(2천800억원)를 차지했으며 2020년 2분기(1억4천만달러) 대비 무려 50%의 강한 성장세를 기록했다.
반면 비게임 앱의 올해 2분기 다운로드 수는 3억2천만건(게임 포함 전체는 4억3천만건)을 기록하며 2020년 같은 분기 대비 13% 줄어든 수치를 기록했다.
전 세계적으로, 그리고 한국 내 비게임 앱의 성장세에 가장 크게 기여한 앱 카테고리는 단연 엔터테인먼트 및 소셜 앱이었다. 그중 전 세계적으로 지난 1분기 대비 가장 큰 성장을 일구어낸 세부 앱 카테고리는 구글플레이 기준 만화, 도서 및 참고자료, 그리고 데이팅 앱으로, 순서대로 46%, 37%, 35%의 소비자 지출 성장률을 기록했다.
해당 앱 카테고리의 활약은 data.ai의 '한국 내 급상승한 모바일 앱 상위 차트' 소비자 지출 부문에서도 1위 카카오페이지, 2위 유튜브, 3위 웨이브(wavve), 4위 리디북스 전자책, 5위 네이버 웹툰 등 각종 엔터테인먼트 앱이 상위권에 대거 안착한 점을 통해서도 확인할 수 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