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상대응 점검체계(상시 금융시장점검 + 금융리스크 대응 TF)를 확대·운용
금융리스크 10대 핵심 대응과제를 마련하여 부문별 중점 점검
김소영 금융위 부위원장은 23일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에 따른 금융회사 부실위험 차단을 위한 선제적 자금지원이 가능하도록 관련 제도개선을 추진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회사채시장 위축에 따른 기업자금조달 곤란 등의 상황을 대비하여 기존 기업지원 프로그램의 운영 현황을 점검하고, 지원확대 방안도 검토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김 부위원장은 이날(목) 09:00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유관기관(금융위·금감원·예보) 합동 제2차 '금융리스크 대응 TF 회의'에서 이같이 밝혔다.
김소영 부위원장은 모두발언을 통해 "우크라이나 사태가 장기화되는 가운데, 미국 등 주요국들의 통화긴축이 가속화되면서 글로벌 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고 경기침체 우려도 높아지고 있다"고 평가하면서, "복합적 위기가 현실화될 수 있다는 위기감을 가지고, 보다 면밀하고 폭넓게 리스크를 점검해 나갈 필요가 있다"고 강조했다.
또한, "일일점검체계를 지속 유지 중이며, ‘금융리스크 점검회의’를 ‘금융리스크 대응 TF’로 확대·개편하는 등 비상대응 점검체계를 보다 강화했으며, 금융리스크 10대 핵심 대응과제를 중심으로 중점 점검해 나갈 것"을 밝혔다.
금융리스크 10대 핵심과제로 기업 자금시장 경색, 주식시장 변동성 확대, 제2금융권 외화유동성 부족, 제2금융권 채권자금조달 차환 위험, 보험사 지급여력비율(RBC) 하락 위험, 금융회사 자본여력 하락, 유동성 부족 위험, 금융회사의 부동산 익스포져 손실 위험, 가계부채 리스크, 소상공인・자영업자 부채, 한계 중소·중견기업 증가를 꼽았다.
한편, 김 부위원장은 "이번 추경에 반영된 금융부문 민생지원 프로그램을 최대한 조기시행하고, 이와 함께 취약계층의 추가적인 애로사항 파악과 이를 완화하기 위해 취약계층 금융애로 TF도 구성·운영하여 구체적인 지원방안을 미리 고민하고 준비해 나갈 것"이라고 언급했다.
차기 회의는 내달 21일 경 개최하고, 그간의 시장안정조치에 대한 유효성 재점검·보완방안, 금융회사에 대한 선제적 자금지원 제도개선 방안의 구체적 추진계획 등을 논의할 예정이다.[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