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분기 환율상승의 물가영향은 소비자물가‧생산자물가 기여도 각각 0.7%, 2.0%
물가안정 위해서는 환율안정 긴요하므로, 무역수지 흑자 전환 등에 총력
최근 국내물가는 국제원자재 가격뿐만 아니라 환율의 영향도 큰 만큼 무역수지 흑자 전환 등 환율안정에 주력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나왔다.
3일 한국경제연구원(이하 한경연)은 ‘환율변화가 물가에 미치는 영향과 시사점’ 분석을 통해 이같이 밝혔다.
![](/news/photo/202206/96506_73897_2828.jpeg)
공급망 훼손과 우크라이나 사태 장기화로 국제원자재 가격의 급등세가 지속되고 있는 가운데 원달러 환율마저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올해 4월 원달러 환율은 매매기준율 평균기준 1,232.3으로 전년동월대비 10.1% 상승, 6년 2개월만(2016년 2월 10.8%)에 상승율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러한 원자재가격과 환율 급등의 영향으로 물가도 크게 오르고 있다. 4월 중 소비자물가는 전년동월대비 4.8% 상승하여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인 2008년 10월(4.82% 상승) 이후 13년 6개월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한경연에 따르면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에도 한국을 포함, 전세계적으로 높은 물가상승율을 기록했는데 금융위기 기간(2008년 6월∼11월 전년동월대비 평균 상승률) 중 원화기준 수입물가 상승률 44.0%, 생산자물가 10.9%, 소비자물가 5.3% 상승했다.
![](/news/photo/202206/96506_73898_3053.png)
4월 중 생산자물가도 9.2% 상승했다. 생산자물가는 작년 10월부터 7개월 연속 8% 이상의 상승률을 보이고 있는데, 8% 이상의 지속 기간은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2008년 5∼10월, 6개월)보다 길다.
보고서는 생산자물가의 급등은 원재료수입물가의 급등에 기인한다고 분석했다. 4월 중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는 전년동월대비 71.3% 상승했는데, 작년 4월부터 올해 4월까지 13개월 연속 30%(최고치 작년 10월 88.5%)가 넘은 상승률을 기록했다. 글로벌 금융위기 당시 원재료수입물가의 30% 이상 지속기간은 12개월(2007년 11월∼2008년 10월)이었다.
한경연은 최근 물가급등세를 글로벌 금융위기기 당시와 비교해 볼 때, 최근의 국제원자재 가격상승율이 더 높아 '국제원자재가격 상승 + 환율 절하에 따른 원화기준 수입물가 급등 → 가파른 생산자물가 및 소비자물가 상승'으로 이어지는 연쇄효과가 상당기간 이어질 것으로 보았다.
한경연에 따르면 최근 6개월(2021년 11월∼2022년 4월)간 원화기준 원재료수입물가 상승률(66.7%)이 글로벌 금융위기 6개월(2008년 6월∼2008년 11월)간 상승률(62.9%)보다 높다.
한경연은 2003년 2월부터 2022년 2월까지 19년간의 월별자료를 이용하여 원달러 환율 상승율이 소비자물가와 생산자물가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정했다. 분석결과, 전년동월대비 원달러 환율이 1%p 높아지면, 소비자물가는 0.1%p 오르고, 생산자물가는 0.2%p 상승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경연은 이러한 추정결과를 기초로 올해 1분기 원달러 환율 변화(전년동기대비 8.2% 상승)가 동일 기간인 1분기 중 물가상승률에 미치는 영향력을 추정했다. 분석결과, 올해 1분기 소비자물가는 3.8% 상승했는데, 환율상승의 기여도는 0.7%로 나타났다.
따라서 보고서는 환율이 안정적이었다면, 1분기 중 소비자물가는 3.1%로 낮아질 수 있었음을 의미한다고 풀이했다.
또한 1분기 중 생산자물가 상승률은 8.8%이었는데, 환율상승의 기여도는 2.0%로 분석됐다. 환율이 안정적이었다면, 생산자물가 역시 6.8%로 낮아질 수 있었다.
추광호 한경연 경제정책실장은 “원달러 환율이 상승하면, 기업의 원재료 수입 가격이 올라가 생산자물가와 소비자물가의 상승으로 이어지는 것이 실증적으로 확인되었다”라며, “물가안정을 위해서는 국제원자재 공급애로 타개에도 노력 해야하지만, 무역수지 흑자 전환 등 환율안정을 위해서도 총력을 기울여나가야 한다”고 주장했다.[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