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대면으로 2분만에 낮은 금리로 최대 2억2천200만원까지 대출 가능
중도상환수수료도 없어…2030 1인 가구, 신혼부부의 주거난 '해결 기대
지난해 9월 케이뱅크가 선보인 전세대출과 청년전세대출 두 가지 상품이 출시 6개월만에 대출 규모가 6천억원을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인터넷전문은행 캐이뱅크는 비대면 편의성과 경쟁력 있는 금리에 힘입어 케이뱅크 전세대출이 높은 인기를 끌면서 대출규모가 6천억원을 돌파했다고 23일 밝혔다.
지난해 9월 출시된 케이뱅크 전세대출과 청년전세대출은 지난해 11월 1천억원을 돌파한 데 이어 올해 1월 3천억원, 2월 5천억원을 넘어서며 가파른 증가세를 보이고 있다. 본격적인 봄 이사철을 맞아 전세 수요가 급증하며 인기를 끌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는게 케이뱅크의 설명이다.
케이뱅크의 전세대출은 모든 절차가 100% 비대면으로 진행돼 주말과 공휴일에도 대출금 송금이 가능하다. 대출을 위해 필요한 10여종의 서류를 임대차 계약서(확정일자 필수)와 계약금 영수증(보증금 5% 이상)으로 간소화했다.
두 가지 서류를 사진 촬영해 앱으로 제출하면 클릭 몇 번으로 2분만에 손쉽게 전세자금 대출을 신청할 수 있다. 별도의 중도상환수수료가 없어 대출 후 언제든 부담 없이 중도상환이 가능하다.
경쟁력 있는 금리도 장점이다. 금융감독원(금융상품한눈에)의 지난달 통계에 따르면 케이뱅크의 전세대출 금리는 연 2.90% 수준이다. 한국주택금융공사가 공시한 지난달 전세대출 금리를 봐도 케이뱅크의 평균 금리는 연 2.80%로 5대 시중은행 평균인 연 3.56%와 비교해 낮았다.
23일 기준으로도 케이뱅크의 전세대출 금리는 연 2.88% ~ 4.40%, 청년전세대출금리는 연 2.48% ~ 2.66%로 낮은 수준의 금리다.
특히 주로 2030이 케이뱅크 전세대출을 통해 대출을 받아갔으며, 1인 가구와 신혼부부의 비중 역시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케이뱅크가 분석한 결과, 전세대출 고객의 82.6%가 20대와 30대 고객이었다. 100% 비대면과 간소화된 절차, 경쟁력 있는 금리가 MZ세대 유입으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 대출 고객 중 1인가구의 비중은 43.3%, 신혼부부 비중은 13.2%로 10명 중 6명이 1인가구 또는 신혼가구였다. 지역별로는 수도권이 고객의 63.0%를 차지했고, 직업별로는 83.6%가 직장인 고객이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케이뱅크 전세대출이 상품의 취지대로 2030 1인 가구 또는 신혼부부의 주거난 해결사 역할을 톡톡히 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된 셈"이라고 밝혔다.
케이뱅크 전세대출은 근로소득자 또는 사업소득자로 부부합산 무주택 또는 1주택 고객이면 최대 2억2천200만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특히 1주택의 경우에도 부부합산 연소득 1억원 이하이고 보유주택의 시세가 9억원 이하면 대출을 받을 수 있다.
청년전세대출은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자로 부부 합산 연소득 7천만원 이하면 최대 1억원까지 대출이 가능하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대출 편의성에 경쟁력 있는 금리가 더해지며 젊은 신혼부부와 1인 가구 사이에 전세대출이 큰 인기를 끌고 있다"며 "앞으로도 경쟁력 있는 상품 발굴로 고객 만족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