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기업들이 최근 경영 트렌드로 ESG경영 또는 지속가능경영이 주요 화두로 떠오르면서 관련 준비에 박차를 가하고 있는 가운데, 미국 자동차 기업 GM이 지속가능경영 보고서를 내놔 관련 업계의 관심이 주목된다.
한국지엠은 최근 제너럴모터스(GM)가 지난 한 해 GM의 ESG(환경·사회·지배구조) 성과를 개괄하고 나아가 탄소 배출 제로(Zero Emissions)를 향한 여정의 일환으로 한층 강화된 새로운 환경적 지속가능경영 목표를 제시하는 열 한번째 '지속가능경영 연간보고서'를 발간했다고 7일 밝혔다.
GM의 새로운 지속가능경영 목표에는 2035년까지 운영상의 에너지 이용 집약도 35% 감축 (2010년 기준년도 대비), 2030년까지 '제로 폐기물(Zero Waste)'을 목표로 포장재에 100% 생분해성 혹은 지속가능한 원재료를 주로 사용, 2025년까지 글로벌 사업장 내 매립지 및 소각장에서 90% 이상의 폐기물 전환율 달성, 2025년까지 모든 1차 협력업체(Tier 1 Suppliers)가 'GM 협력업체 지속가능경영 프로그램'에 등록 등이 포함됐다.
올해 초 GM은 2035년까지 새로 출시되는 경량자동차(light-duty vehicle)들의 배기가스 배출을 없애겠다는 포부와 함께 2040년까지의 탄소중립 실현 및 과학에 기반한 온실가스 배출 감축목표를 위해 노력할 것을 천명한 바 있다.
실제로 GM은 지난 4월 22일 '과학 기반 감축목표 이니셔티브(Science-Based Targets initiative; SBTi)'로부터 과학기반 범위(Scope) 1단계, 2 단계 그리고 3단계의 탄소배출 감축목표에 대한 가승인을 획득했다. 지난달 20일에는 바이든 정부의 기후 대응 약속 및 2030년까지의 온실가스 배출 절감을 위한 기후 목표 설정을 지지하는 공개 서한에 서명했다.
또한, GM은 2035년까지 전 세계 및 2030년까지 미국 사업장 내 100% 재생 에너지 전력으로의 전환, 2035년까지 운영상의 물 이용 집약도 35% 감축 (2010년 대비), 2030년까지 GM 차량제품들의 최소 50%를 지속가능한 원자재들로 구성 등 이전에 발표한 지속가능 목표를 위해 꾸준히 박차를 가하고 있다.
GM 회장 겸 CEO인 메리 바라(Mary Barra)는 보고서를 통해 "일순간 역사의 모든 것을 바꾸는 거대한 기술 변혁은 종종 사람들을 소외시킨다"라고 지적하며 "GM의 완전 전동화 시대로의 전환은 공정하고 포용적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한, 과감한 환경 목표를 보강하면서 변화에 대한 회사의 접근 방식도 마찬가지로 중요하다고 언급했다.
한편, 보고서에는 안전, 환경, 인력 등 주요 우선순위들에 대한 최신 자료를 제공하는 GM의 ESG 데이터 센터가 소개됐다. 또한 보고서는 GM의 ESG 운영전략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포함, 회사의 완전 전동화 시대로의 패러다임 전환, 다양성, 공정함과 포용성, 2010년부터 2020년까지의 지속가능경영 성과에 대한 설명을 담았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