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코로나19 위기 등으로 인해 열악한 환경에 놓인 청년 자영업자가 컨설팅을 받으면 대출 금리를 인하해주는 등 이들의 금융 부담을 덜어줄 방안 마련에 나섰다고 23일 밝혔다.
금감원은 최근 20·30세대의 신규 창업이 늘어나는 반면 단기(창업 이후 3년 이내) 폐업 비중이 연령대 가장 높은 수준(55%)을 보이는 등 청년 자영업자에 대한 지원이 시급하다고 판단해 이들에 대한 특화된 지원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봤다.
이에 금감원은 은행권과 함께 자영업 경험 등이 상대적으로 부족한 청년층을 지원하는 맞춤형 컨설팅 프로그램을 마련키로 했다.
기존 성공사례를 분석해 사회초년생에게 필요한 금융지식, 영업 노하우 등을 전수하는 '청년 자영업자 교육 프로그램'을 신설한다. 경험이 풍부한 자영업자 등을 멘토로 임명해 경영자문을 제공하는 '청년 자영업자 멘토링 프로그램'을 도입한다.
컨설팅 프로그램을 수료한 청년 자영업자에게는 대출 금리를 인하하는 방안도 추진한다. 소상공인진흥기금 대출, 영세소상공인 이차보전 프로그램 협약대출 등이 주 대상이다.
금감원은 코로나19 위기관리 프로그램을 통한 소상공인·자영업자 지원에도 더욱 집중하겠다는 방침이다. 특별상담센터의 상담 서비스 지속 제공, 취약계층 대상으로 '찾아가는 현장 소통반' 운영, '자영업자 금융지원 인포센터' 플랫폼 구축 등이 대표적 방안이다.
그중에서도 은행권과 함께 운영하는 소상공인·자영업자 금융 애로 현장지원단(특별상담센터·현장 청취반)의 활동을 한층 더 강화하겠다는 복안이다.
빅데이터를 활용하여 위기관리 컨설팅 시스템도 한층 더 고도화하는 동시에 지역별 센터 확충 및 온라인·비대면 서비스도 강화해 한층 더 내실을 다진다.
상권 정밀분석 시 자영업자 현황 분석정보, 카드 매출정보, 부동산 시세정보 등 연관 빅데이터의 활용 및 적합업종 추천 등을 통해 컨설팅 실효성을 높이고 자영업자의 성공확률 향상을 도모한다.
지역별 컨설팅 센터도 2020년 27개에서 올해 33개로 확충하고 연말 유공자 표창 등을 통해 적극적인 참여를 독려한다.
은행권의 모바일 플랫폼 확대 유도 및 금감원 홈페이지에 지원 정보를 집적한 종합 플랫폼인 '자영업자 금융지원 인포세터(가칭)'를 구축한다.
채무상환이 어려운 자영업자들이 ‘개인사업자대출 119’를 더욱 잘 이용할 수 있도록 은행의 사전적 파주관리, 교육 및 대외홍보를 강화하는 한편, 만기연장·이자상환 유예 조치 종료 이후에는 연체우려 차주에 대한 효과적 지원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도록 유도할 계획이다.
2020~2021년 위기관리 지원체계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