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오후18시50분 분 현재 18구 수습 신원확인..군-유가족 '침통' 함미 저녁 늦게 2함대로 옮겨 절단면 좌.우현 모두 파손..우측 절단면 타원형으로 파여 천안함의 함미가 침몰 20일 만에 뒤늦게 귀환했으나 실종 장병들은 끝내 살아서 귀대하지 못했다. ![]() ![]() 국방부는 15일 "오전 9시부터 진행된 함미 인양작업을 시작해 정오께 바지선에 탑재 완료했다"면서 "민.군 합동조사단의 과학수사팀과 실종자 가족들이 기관부침실과 사병식당 등에 진입해 수색작업 끝에 오후 5시30분 현재 시신 6구를 수습했다"고 밝혔다. ![]() ![]() 신원이 확인된 시신은 서대호(21), 방일민(24), 이상준(20) 하사와 이상민(22) 병장, 안동엽(22) 상병, 임재엽(26) 중사(진급예정) 등이다. 이 중 안 병장은 기관부침실에서, 임 중사는 76mm 함포 아래 탄약고에서 각각 발견됐고 나머지는 사병식당에서 찾아됐다. ![]() ![]() 해군은 신원이 확인된 시신은 영현낭에 안치해 태극기를 덮은 뒤 헬기를 이용해 평택 2함대사령부로 옮겨 안치된다. ![]() ![]() 함미에는 당초 실종장병 44명이 있을 것으로 추정돼왔기 때문에 앞으로 시신이 추가로 수습될 전망이다. ![]() ![]() 실종자 수색 및 시신수습은 오후 8시까지 계속된 뒤 함미는 고속정 2척과 초계함 1척의 호송을 받아 2함대로 이송된다. ![]() ![]() 앞서 군과 민간 인양팀은 오전 9시부터 정오까지 백령도 남방 1천370m 지점 해역에 가라앉아 있는 함미를 대형 크레인선과 연결된 세 가닥의 체인을 이용해 끌어올려 바지선에 탑재했다. ![]() 1분에 1m씩 서서히 물 위로 올려져 오전 9시11분 갑판위 사격통제 레이더실과 하푼 미사일 등의 모습을 드러낸 함미는 오전 9시30분부터 자연배수에 들어가 430t가량의 해수를 배출했으며 오전 9시58분에는 배수펌프를 이용해 504t의 물을 뽑아냈다. ![]() 이어 오전 11시50분 물 위로 완전히 드러난 함미의 절단면은 좌.우현 모두 파손됐으나 우측 절단면은 심하게 타원형으로 파여 침몰 당시의 강한 충격이 있었음을 시사했다. ![]() 이날 인양작업은 너울성 파도로 난항이 예상됐지만 의외로 기상이 좋아 예정됐던 작업 시간이 단축됐다. 다만, 함미를 지탱하던 바지선의 거치대가 파손되면서 이를 보정하는 작업을 했다. ![]() 군은 오후 2시50분부터 3시5분까지 해난구조대(ssu) 40여명을 투입해 함내에 작업등을 설치하고 통로를 개척했으며, 오후 3시5분에는 합조단 과학수사팀 4명을 승조원 식당으로 들여보냈다. 오후 3시20분에는 실종자 가족 4명과 과학수사팀 4명이 함내에 진입해 실종자 수색작업을 진행했다. ![]() 인양에 앞선 오전 8시44분에는 사고 해역의 독도함에서 실종자 가족 대표 11명과 생존 장병 등이 참석한 가운데 모든 실종자를 수습할 수 있기를 기원하는 위령제가 열렸으며, 주변의 해군 전 함정은 15초간 애도의 기적을 울렸다. 실종자 수색이 모두 끝나면 함미를 실은 탑재 바지선은 평택 2함대로 이동을 시작한다. 바지선의 속도가 시속 5~7노트(9~12㎞) 정도로 느리기 때문에 150마일(240㎞) 거리의 평택항에는 16일 오후 4시 전후에 도착할 것으로 예상된다. ![]() 군은 이날부터 수중 잔해물 탐색을 위해 폭발 원점 반경 500m 이내를 정밀 탐색 중이며 무인탐사정인 '해미래호'를 투입했다. 민.군 합조단도 이날 함미가 탑재될 바지선에 현장조사팀 38명을 투입, 본격적인 조사 활동에 돌입했다. 현장조사팀은 군 인사 26명과 민간인 10명, 미국 조사요원 2명으로 구성됐으며, 민간은 윤덕용 공동조사단장을 비롯해 국립과학수사연구소 요원 2명, 함정구조 전문가 4명, 폭발유형분석 전문가 3명 등이 포함됐다. 이들은 절단면을 중심으로 선체 전반에 대한 정밀영상을 촬영하는 등 선체 절단 원인에 대한 조사에 착수하게 된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