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하는 이유 ‘경제적 부흥’…원하지 않는 이유경 ‘경제적 부담’
엘림넷 나우앤서베이가 9월27~10월4일 자체 패널을 대상으로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응답자는 전국의 10~60대의 남자 271명, 여자 229명 총 500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38%포인트다.
통일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3/4 이상(76.6%)이 ‘통일을 원한다’라고 대답했고 23.4%가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의견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을 원하는 이유’(‘통일을 원하다’라고 답한 응답자 대상)에 대해 물었을 때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한 의견은 ‘경제적 부흥의 계기’(47%)이며 그 뒤를 이어 ‘한반도 전쟁공포로부터의 해방’(39.2%), ‘북한 주민들의 자유를 위해’(7.3%), ‘남남정치갈등 해소’(4.4%) 등으로 나타나며 통일을 원하는 이유로 한반도 통일에 따른 경제적 부흥 및 전쟁위기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을 원하지 않는 이유’(‘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응답자 대상)에 대해 물었을 때 ‘경제적 부담이 클 것 같아서’(54.7%)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북한주민 남하로 인한 사회불안 야기’(29.1%), ‘정치적 갈등 심화’(8.5%)가 그 다음을 차지하며 통일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경제적이 부담 및 사회불안에 대한 염려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세를 소득의 몇%까지 부담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응답자들은 평균적(30% 초과 응답자 14명 제외)으로 3.79%까지 부담할 있다고 답했다.
1% 이상~5% 미만 이 전체의 37.7%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0%~1% 미만(27.8%), 5%~10% 미만(18.9%), 10%~30% 이하(15.6%) 순으로 나타났다.
‘어떠한 방식의 통일을 지향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69.6%가 ‘자유민주주의 통일 방식’을 선택했고 그 뒤를 이어 ‘일국 이체제 통일(중국-홍콩) 방식’(21.0%), ‘모르겠다’(6.2%), ‘공산주의(사회주의) 통일’(2%), ‘기타’(1.2%)로 나타났다.
2019년 남북한 주민의 상호 자유왕래 허용(가정)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69.4%가 찬성(찬성 및 매우 찬성), ‘의견 없음’ 15.8%로 답했으며 ‘반대’(반대 및 매우 반대)는 14.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남북한 주민의 상호 자유왕래에 대한 높은 지지도를 나타냈다.
‘2019년에 자유왕래가 허용된다면 북한에서 가장 먼저 하고 싶은 것’으로 ‘백두산 관광’이 22.8%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평양시 관광’(15.6%), ‘역사문화 탐방’(15.4%), ‘금강산 관광’(10.8%), ‘북한주민들과의 솔직한 대화’(10.2%) 등으로 나타나 북한 관광지 방문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보였으나 ‘북한에 가고 싶지 않다’는 의견도 전체의 15.4%로 큰 비율을 차지했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의 호감도는 이번 조사에서도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 ‘호감’(매우 호감적 및 호감적)을 보인 응답자의 비율은 22.8%에 불과한 반면 보통 39.2%, 비호감(매우 비호감적 및 비호감적)을 표한 응답자의 비율은 38%로 나타나 정상회담 직전 나우앤서베이 패널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9.14~18)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단 오차범위 내이긴 하지만 정상회담 직전 설문 조사에 비해서 비호감은 6%포인트(44%→38%)하락한 반면 호감 응담자는 2.1%포인트(20.7%→22.8%) 상승해 남북한정상회담이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인식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김정일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에 대하여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위원장의 서울 방문에 대해 16.6%가 불만족(매우 불만족함 및 불만족함)을 나타낸 반면 보통 34.6%, 만족함(매우 만족함 및 만족함)을 표한 응답자의 비율은 48.8%로 나타났다.
엘림넷 나우앤서베이가 9월27~10월4일 자체 패널을 대상으로 평양 남북정상회담에 관해 설문조사를 실시했다.
설문 응답자는 전국의 10~60대의 남자 271명, 여자 229명 총 500명으로 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는 ±4.38%포인트다.
통일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3/4 이상(76.6%)이 ‘통일을 원한다’라고 대답했고 23.4%가 ‘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응답해 남북한 통일을 원하는 의견이 압도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 |
‘통일을 원하는 이유’(‘통일을 원하다’라고 답한 응답자 대상)에 대해 물었을 때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한 의견은 ‘경제적 부흥의 계기’(47%)이며 그 뒤를 이어 ‘한반도 전쟁공포로부터의 해방’(39.2%), ‘북한 주민들의 자유를 위해’(7.3%), ‘남남정치갈등 해소’(4.4%) 등으로 나타나며 통일을 원하는 이유로 한반도 통일에 따른 경제적 부흥 및 전쟁위기 해소에 대한 기대감이 가장 큰 것으로 나타났다.
‘통일을 원하지 않는 이유’(‘통일을 원하지 않는다’라고 답한 응답자 대상)에 대해 물었을 때 ‘경제적 부담이 클 것 같아서’(54.7%)가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북한주민 남하로 인한 사회불안 야기’(29.1%), ‘정치적 갈등 심화’(8.5%)가 그 다음을 차지하며 통일을 원하지 않는 이유로 경제적이 부담 및 사회불안에 대한 염려가 가장 큰 부분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 |
‘통일세를 소득의 몇%까지 부담할 의향이 있는가?’에 대한 의견을 물었을 응답자들은 평균적(30% 초과 응답자 14명 제외)으로 3.79%까지 부담할 있다고 답했다.
1% 이상~5% 미만 이 전체의 37.7%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0%~1% 미만(27.8%), 5%~10% 미만(18.9%), 10%~30% 이하(15.6%) 순으로 나타났다.
‘어떠한 방식의 통일을 지향하는가?’에 대한 생각을 물어본 결과 응답자의 69.6%가 ‘자유민주주의 통일 방식’을 선택했고 그 뒤를 이어 ‘일국 이체제 통일(중국-홍콩) 방식’(21.0%), ‘모르겠다’(6.2%), ‘공산주의(사회주의) 통일’(2%), ‘기타’(1.2%)로 나타났다.
![]() |
2019년 남북한 주민의 상호 자유왕래 허용(가정)에 대한 의견을 물어본 결과 전체 응답자의 69.4%가 찬성(찬성 및 매우 찬성), ‘의견 없음’ 15.8%로 답했으며 ‘반대’(반대 및 매우 반대)는 14.8%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나 남북한 주민의 상호 자유왕래에 대한 높은 지지도를 나타냈다.
‘2019년에 자유왕래가 허용된다면 북한에서 가장 먼저 하고 싶은 것’으로 ‘백두산 관광’이 22.8%로 가장 많은 응답을 차지했고 그 뒤를 이어 ‘평양시 관광’(15.6%), ‘역사문화 탐방’(15.4%), ‘금강산 관광’(10.8%), ‘북한주민들과의 솔직한 대화’(10.2%) 등으로 나타나 북한 관광지 방문에 대한 높은 관심도를 보였으나 ‘북한에 가고 싶지 않다’는 의견도 전체의 15.4%로 큰 비율을 차지했다.
북한의 김정은 위원장의 호감도는 이번 조사에서도 상당히 낮게 나타났다. 김정은 위원장에 대해 ‘호감’(매우 호감적 및 호감적)을 보인 응답자의 비율은 22.8%에 불과한 반면 보통 39.2%, 비호감(매우 비호감적 및 비호감적)을 표한 응답자의 비율은 38%로 나타나 정상회담 직전 나우앤서베이 패널회원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9.14~18) 결과와 유사한 양상을 보였다.
![]() |
단 오차범위 내이긴 하지만 정상회담 직전 설문 조사에 비해서 비호감은 6%포인트(44%→38%)하락한 반면 호감 응담자는 2.1%포인트(20.7%→22.8%) 상승해 남북한정상회담이 김정은 위원장에 대한 인식에 다소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고 추론할 수 있다.
김정일 국무위원장의 서울방문에 대하여는 대체적으로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김위원장의 서울 방문에 대해 16.6%가 불만족(매우 불만족함 및 불만족함)을 나타낸 반면 보통 34.6%, 만족함(매우 만족함 및 만족함)을 표한 응답자의 비율은 48.8%로 나타났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