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금리의 인상은 외국자본을 유출시킬 가능성이 있으나 그 규모는 우리경제의 규모와 외환보유액 등 외환건전성 상황을 감안할 때 미미한 것으로 평가된다.
국책연구기관인 KDI는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외국자본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차입투자를 중심으로 외국자본 유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최근 한미 금리역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외국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었다.
2008년 금융위기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했던 미국의 통화당국은 지난 2015년 12월 금리인상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정책금리를 25bp씩 여섯 차례 인상한 바 있다.
최근에는 아르헨티나가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면서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의 외국자본 유출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리번 브라더스 사태기간(2008년 3~4) 중,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를 반영하는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자본은 차입투자를 중심으로 대규모 유출된 바 있었다.
반면, 양적완화를 추진한 기간(2009년 1분기~2014년 3분기) 중 외국자본은 주로 채권 투자를 중심으로 유입되었으며 그 규모는 GDP 대비 0.9% 정도를 차지했다.
또한 미국의 통화정책이 정상화 기조로 변경된 이후(2014년 4분기~)에도 외국자본은 전반적으로 유입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채권투자와 차입투자 자금은 소폭 유출되는 모습이었다.
따라서 최우진 KDI 거시경제부 연구위원은 “외국자본 유출은 통화가치의 안정성, 기축통화여부, 국가부도 위험 및 경제위기 등도 주요 요인이므로 금리차만으로는 자본유출의 변동을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최 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인상이 외국자본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실증분석 결과, 미국의 금리인상은 주로 부채성 자금(차입 및 채권투자)을 중심으로 외국자본 유출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 규모는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미 연준이 정책금리를 25bp 인상할 경우, 미국의 단기 국채금리가 37.5bp상승했다. 이로 인해 우리 자본시장으로부터 유출되는 외국자본의 규모는 GDP 대비 0.38%(전체외국자본 대비 0.5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연구위원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VIX)이 확대되거나 정치·지정학적 위험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외국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일부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급락 등을 고려할 때 미국의 금리인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동시에 급격히 확대되고 있어, 외국자본이 비교적 큰 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러나 최 연구위원은 현재 외환보유액의 규모를 감안할 때 대규모 외국자본 유출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정도로 평가했다.
현재 우리경제는 3,984억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이 있으며, 이는 단기채무의 3.2배로 전체 부채성 자금 규모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최 연구위원은 정치·지정학적 위험의 경우에는 채권투자를 중심으로 GDP대비 0.10%(전체 외국자본 0.13%) 규모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 |
국책연구기관인 KDI는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가 외국자본 유출에 미치는 영향’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국제금융시장 변동성이 확대되는 경우 차입투자를 중심으로 외국자본 유출에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25일 밝혔다.
최근 한미 금리역전이 벌어지고 있는 상황에서 미국의 금리인상이 본격화 될 것으로 예상되어 외국자본 유출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었다.
2008년 금융위기이후 ‘제로금리’를 유지했던 미국의 통화당국은 지난 2015년 12월 금리인상을 시작으로 현재까지 정책금리를 25bp씩 여섯 차례 인상한 바 있다.
최근에는 아르헨티나가 IMF에 구제금융을 신청하면서 미국의 금리인상에 따른 신흥국의 외국자본 유출 우려가 제기된 상황이다.
우리나라는 리번 브라더스 사태기간(2008년 3~4) 중, 미국의 통화정책 변화를 반영하는 국채금리가 큰 폭으로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외국자본은 차입투자를 중심으로 대규모 유출된 바 있었다.
반면, 양적완화를 추진한 기간(2009년 1분기~2014년 3분기) 중 외국자본은 주로 채권 투자를 중심으로 유입되었으며 그 규모는 GDP 대비 0.9% 정도를 차지했다.
또한 미국의 통화정책이 정상화 기조로 변경된 이후(2014년 4분기~)에도 외국자본은 전반적으로 유입되는 모습을 보이고 있으나 채권투자와 차입투자 자금은 소폭 유출되는 모습이었다.
따라서 최우진 KDI 거시경제부 연구위원은 “외국자본 유출은 통화가치의 안정성, 기축통화여부, 국가부도 위험 및 경제위기 등도 주요 요인이므로 금리차만으로는 자본유출의 변동을 설명하기는 어렵다”고 했다.
최 연구위원은 “미국의 금리인상이 외국자본의 유출에 미치는 영향은 미미 한 것으로 나타났다”며 “실증분석 결과, 미국의 금리인상은 주로 부채성 자금(차입 및 채권투자)을 중심으로 외국자본 유출을 유발할 가능성이 있으나 그 규모는 통상적인 수준이라”고 밝혔다.
분석에 따르면, 미 연준이 정책금리를 25bp 인상할 경우, 미국의 단기 국채금리가 37.5bp상승했다. 이로 인해 우리 자본시장으로부터 유출되는 외국자본의 규모는 GDP 대비 0.38%(전체외국자본 대비 0.52%)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최 연구위원은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VIX)이 확대되거나 정치·지정학적 위험이 높아지는 경우에도 외국자본의 유출 가능성이 있으나 현재 우려할 만한 수준은 아니다”고 밝혔다.
그는 최근 일부 신흥국의 통화가치가 급락 등을 고려할 때 미국의 금리인상이 빠르게 진행되면서 국제금융시장의 변동성이 동시에 급격히 확대되고 있어, 외국자본이 비교적 큰 폭으로 유출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는 없다고 했다.
그러나 최 연구위원은 현재 외환보유액의 규모를 감안할 때 대규모 외국자본 유출은 충분히 감내할 수 있는 정도로 평가했다.
현재 우리경제는 3,984억달러 규모의 외환보유액이 있으며, 이는 단기채무의 3.2배로 전체 부채성 자금 규모를 상회하는 수준이다.
최 연구위원은 정치·지정학적 위험의 경우에는 채권투자를 중심으로 GDP대비 0.10%(전체 외국자본 0.13%) 규모의 유출이 발생하는 것으로 추정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