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트시대 어울리지 않는 낡은 업무 관행 있다면 전면적으로 혁신"
[파이낸셜신믄=이유담 기자]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신임 회장이 30일 스마트 금융그룹으로의 변모를 위해 낡은 업무관행을 전면 혁신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김 회장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농협금융의 변화하지 않는 기본으로 혁신, 농업인의 버팀목, 고객신뢰, 협업 네 가지를 삼고 "스마트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낡은 업무 관행이 있다면 전면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농협금융이 보수적이고 관료화됐다는 일각의 비판이 있다"면서 '전략은 변하지 않는 것에 토대를 둬야 한다'는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의 말을 인용하며 이같이 밝혔다.
김 회장은 안정적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농업·농촌을 지원하는 범농협 수익센터로서의 농협금융 본연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타 금융지주와 비교하면 이익 규모뿐 아니라 총자산순이익률(ROA),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수익성 지표가 낮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객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수요에 맞춰 자산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주는 금융의 본질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모든 임직원에게 고객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삼을 것을 주문했다.
이어 김 회장은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한 범농협 시너지 극대화와 끊임없는 혁신을 주문했다.
그는 "농협금융은 출발 자체가 상부상조라는 협업 정신에 기반하고 있으며, 농·축협, 범농협 계열사 등 다양한 차원의 협업 채널을 확보하고 있다"며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고유한 협업 자원이 있음을 설명했다.
김 회장은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그룹 내 협업을 추진하면서 중앙회, 상호금융, 농업경제와도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이종 기업 간 융·복합 추세에 맞춰 외부 기업과도 협업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농협금융 경쟁력 강화는 물론 농협금융인 '일과 삶의 균형'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회장은 취임식 전 노동조합 사무실을 가장 먼저 방문해 직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농협금융이 직면한 현안들을 해결해 나가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 회장은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관료 출신으로 2014년 5월 관직에서 물러나 법무법인에서 일했다.
김 회장은 "농협금융지주는 다른 금융지주와 달리 균형 잡힌 금융회사가 될 수 있는 소양을 갖추고 있다"며 "은행과 비은행 부문 간 균형을 맞춰 대한민국에서 누구보다 잘 생긴 금융그룹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김 회장은 이날 서울 서대문구 본점에서 열린 취임식에서 농협금융의 변화하지 않는 기본으로 혁신, 농업인의 버팀목, 고객신뢰, 협업 네 가지를 삼고 "스마트시대에 어울리지 않는 낡은 업무 관행이 있다면 전면적으로 혁신하겠다"고 말했다.
그는 "농협금융이 보수적이고 관료화됐다는 일각의 비판이 있다"면서 '전략은 변하지 않는 것에 토대를 둬야 한다'는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의 말을 인용하며 이같이 밝혔다.
▲30일 서대문 NH농협금융지주 본관에서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신임 회장이 취임사를 하고 있다. (사진=NH농협금융그룹) |
김 회장은 안정적으로 이익을 창출하고 농업·농촌을 지원하는 범농협 수익센터로서의 농협금융 본연의 역할을 강조했다.
그는 "타 금융지주와 비교하면 이익 규모뿐 아니라 총자산순이익률(ROA), 자기자본이익률(ROE) 등 수익성 지표가 낮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면서 안정적인 수익 기반을 마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고객 신뢰를 쌓기 위해서는 수요에 맞춰 자산을 안정적으로 관리해주는 금융의 본질을 제대로 수행하는 것이 기본이라며, 모든 임직원에게 고객신뢰를 최우선 가치로 삼을 것을 주문했다.
이어 김 회장은 계열사 간 협업을 통한 범농협 시너지 극대화와 끊임없는 혁신을 주문했다.
그는 "농협금융은 출발 자체가 상부상조라는 협업 정신에 기반하고 있으며, 농·축협, 범농협 계열사 등 다양한 차원의 협업 채널을 확보하고 있다"며 누구도 넘볼 수 없는 고유한 협업 자원이 있음을 설명했다.
김 회장은 금융지주를 중심으로 그룹 내 협업을 추진하면서 중앙회, 상호금융, 농업경제와도 유기적인 네트워크를 강화하고, 이종 기업 간 융·복합 추세에 맞춰 외부 기업과도 협업을 계속하겠다고 말했다.
더불어 그는 "농협금융 경쟁력 강화는 물론 농협금융인 '일과 삶의 균형'으로 이어지도록 하겠다"고 했다.
김 회장은 취임식 전 노동조합 사무실을 가장 먼저 방문해 직원들과의 적극적인 소통으로 현장의 목소리를 청취하고 농협금융이 직면한 현안들을 해결해 나가겠다고 전하기도 했다.
김 회장은 재정경제부(현 기획재정부) 관료 출신으로 2014년 5월 관직에서 물러나 법무법인에서 일했다.
김 회장은 "농협금융지주는 다른 금융지주와 달리 균형 잡힌 금융회사가 될 수 있는 소양을 갖추고 있다"며 "은행과 비은행 부문 간 균형을 맞춰 대한민국에서 누구보다 잘 생긴 금융그룹으로 만들겠다"고 다짐했다.
▲30일 서대문 NH농협금융지주 본관에서 김광수 NH농협금융지주 신임 회장이 이대훈 은행장 등 자회사 대표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사진=NH농협금융그룹) |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