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위, TF 구성하고 3개년 발전계획 수립
정부가 국제금융중심지로서 서울과 부산의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적극 나섰다. 정부는 태스크포스(TF)를 구성하고 3개년 발전계획을 수립하기로 했다.
금융위원회는 11일 제17차 정례회의를 열고 올해부터 2019년까지 금융중심지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서울의 국제금융경쟁력 순위는 지난해 12위에서 올해 24위, 부산은 38위에서 50위로 떨어졌다.
이는 영국계 컨설팅그룹 지옌이 런던의 금융중심지 ‘시티 오브 런던’의 의뢰를 받아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다.
정부는 우선 자금조달‧운용의 국제화와 글로벌 금융회사 유치‧국내 금융회사 해외진출 활성화, 핀테크 생태계 조성을 통해 금융시장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기로 했다.
초대형 글로벌 투자은행 육성 등을 통해 모험자본을 생산적인 부분으로 공급하고 해외기업의 상장요건을 개선해 우수 외국기업의 국내 기업공개(IPO) 상장유인을 높일 계획이다.
한국투자공사는 4억달러 이상 해외채권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 국내에 진출한 운용사만 참여하도록 한정해서 해외 위탁운용사의 국내 유치를 장려하고 규제개선을 통해 자산운용시장을 키울 방침이다.
이는 국내의 경제규모와 고령화로 인한 풍부한 은퇴자산, 잠재적 펀드를 측면에서 싱가포르나 홍콩보다 호주와 유사하다는 판단에서다. 호주는 퇴직연금 기반의 거대한 자산운용시장 덕분에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대거 몰려왔다.
금융위는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에 유관기관·학계와 외국계 금융회사 등 민간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금융중심지 활성화 TF’를 구성하기로 했다. TF는 국제금융중심지로서 서울과 부산을 실질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과제들을 지속 발굴하고 추진한다.
또 외국계 금융사의 국내 철수와 영업축소를 막기 위해 애로사항을 상시 수렴하고, 건의 제안사항은 체계적으로 저장‧관리하는 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금융위원회는 11일 제17차 정례회의를 열고 올해부터 2019년까지 금융중심지 정책의 기본방향을 제시하는 ‘금융중심지의 조성과 발전에 관한 기본계획’을 심의‧확정했다.
서울의 국제금융경쟁력 순위는 지난해 12위에서 올해 24위, 부산은 38위에서 50위로 떨어졌다.
이는 영국계 컨설팅그룹 지옌이 런던의 금융중심지 ‘시티 오브 런던’의 의뢰를 받아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다.
|
초대형 글로벌 투자은행 육성 등을 통해 모험자본을 생산적인 부분으로 공급하고 해외기업의 상장요건을 개선해 우수 외국기업의 국내 기업공개(IPO) 상장유인을 높일 계획이다.
한국투자공사는 4억달러 이상 해외채권 위탁운용사를 선정할 때 국내에 진출한 운용사만 참여하도록 한정해서 해외 위탁운용사의 국내 유치를 장려하고 규제개선을 통해 자산운용시장을 키울 방침이다.
이는 국내의 경제규모와 고령화로 인한 풍부한 은퇴자산, 잠재적 펀드를 측면에서 싱가포르나 홍콩보다 호주와 유사하다는 판단에서다. 호주는 퇴직연금 기반의 거대한 자산운용시장 덕분에 글로벌 자산운용사들이 대거 몰려왔다.
금융위는 금융중심지추진위원회에 유관기관·학계와 외국계 금융회사 등 민간전문가들이 참여하는 ‘금융중심지 활성화 TF’를 구성하기로 했다. TF는 국제금융중심지로서 서울과 부산을 실질적으로 활성화할 수 있는 과제들을 지속 발굴하고 추진한다.
또 외국계 금융사의 국내 철수와 영업축소를 막기 위해 애로사항을 상시 수렴하고, 건의 제안사항은 체계적으로 저장‧관리하는 등 방안도 마련할 계획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