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 “올해 상반기 ABS 발행액 지난해보다 15.2% 증가”
상반기 자산유동화증권 발행액이 크게 늘었다.
금융감독원은 27일 올해 상반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이 31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중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발행하는 부동산담보대출증권(MBS)은 18조1000억원으로 24% 늘었고, 일반기업 발행액도 6조4000억원으로 36.2% 증가했다.
반면 금융사는 14.3% 감소한 6조6000억원 발행에 그쳤다.
금융사 중 할부사가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조달을 늘리면서 ABS 활용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다.
유동화자산별로는 대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 발행액이 21조1000억원으로 30.2% 늘었다.
특히 민간이 투자한 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관련 대출채권에 기초한 ABS는 1조3000억원으로 13배 증가했다.
이는 시장금리가 낮을 때 금융비용 절감을 위해 ABS 발행자금을 통해 기존 고금리 대출을 상환하는 리파이낸싱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매출채권 기초 ABS(8조7000억원)와 중소기업 회사채를 기초로 한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1조2000억원) 발행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7.4%, 7.7% 줄었다.
금융감독원은 27일 올해 상반기 자산유동화증권(ABS) 발행액이 31조1000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15.2% 증가했다고 밝혔다.
이 중 한국주택금융공사가 주택저당채권을 기초자산으로 해서 발행하는 부동산담보대출증권(MBS)은 18조1000억원으로 24% 늘었고, 일반기업 발행액도 6조4000억원으로 36.2% 증가했다.
반면 금융사는 14.3% 감소한 6조6000억원 발행에 그쳤다.
금융사 중 할부사가 회사채 발행을 통해 자금조달을 늘리면서 ABS 활용이 줄어든 것이 원인이다.
유동화자산별로는 대출채권을 기초로 한 ABS 발행액이 21조1000억원으로 30.2% 늘었다.
특히 민간이 투자한 도로‧철도 등 사회간접자본(SOC) 사업 관련 대출채권에 기초한 ABS는 1조3000억원으로 13배 증가했다.
이는 시장금리가 낮을 때 금융비용 절감을 위해 ABS 발행자금을 통해 기존 고금리 대출을 상환하는 리파이낸싱 수요가 늘어났기 때문으로 분석된다.
한편 매출채권 기초 ABS(8조7000억원)와 중소기업 회사채를 기초로 한 프라이머리-채권담보부증권(1조2000억원) 발행은 지난해 상반기보다 각각 7.4%, 7.7% 줄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