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당국, 대우조선 지원방안 23일 발표
|
유동성 위기에 몰린 대우조선해양에 신규자금 2조~3조원을 지원하는 방안이 유력하게 추진되고 있다. 다만 국책은행·시중은행·회사채 채권자 등 대우조선과 관련한 모든 이해관계자가 광범위한 채무 재조정을 통해 손실을 분담하는 것을 조건으로 한다.
15일 채권단 등에 따르면 금융당국은 오는 23일 이같은 내용을 담은 대우조선 유동성 지원방안을 발표할 계획이다.
금융당국이 이번 추가지원 결정을 차기정권으로 넘기지 않고 현재 시점에서 결단을 내리기로 했으며 그만큼 시급하다는 판단에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4월 위기설'에 시달리던 대우조선이 다음달 21일에 만기를 맞는 4400억원의 회사채를 비롯해 7월 3000억원, 11월 2000억원 등의 상환 문제도 이번 판단에 큰 영향을 끼친 것으로 해석된다.
대우조선해양은 지난해 수주가뭄으로 선박건조와 운영자금도 5월이면 말라버릴 것으로 예측된다.
금융당국 고위관계자는 “한 두 달만 버틸 수 있는 미봉책을 내놓고 대우조선 문제를 다음 정부로 넘기면 부작용이 훨씬 크다고 판단했다”고 말하며 “시야를 중장기적으로 넓힌 지원방안을 짜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모든 이해관계자가 고통을 분담해야 한다는 구조조정의 원칙을 다시 한 번 강조했다.
이번 구조조정이 대우조선해양에게 갖는 의미는 각별하다. 만약 대우조선이 채무구조를 바꾸지 않으면 신규자금을 지원하더라도 또다시 자본 잠식에 빠질 수 있기 때문이다.
구조조정 방향은 산업은행·수출입은행 등 국책은행과 시중은행들은 대우조선 여신의 출자전환을 요구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은행은 지난해 이미 대우조선에 빌려준 1조8000억원을 주식으로 바꿨고 이어 추가 출자전환을 해야 한다.
회사채 채권자도 예외는 아니다. 회사채 채권자에 대한 채무 재조정도 예상된다. 대우조선 회사채는 2018년 만기 기준으로 1조5000억원 규모이다.
|
일부에서는 정부가 오는 23일을 대우조선 유동성 지원방안 발표일로 잡은 것도 회사채 채무 재조정과 무관치 않은 것으로 분석된다. 만약 4월 21일 만기가 돌아오는 회사채 4400억원에 대한 채무 재조정을 하려면 최소 24일까지 사채권자 집회를 열어야 한다. 정부가 사채권자 집회전에 대우조선을 살리겠다는 의지를 명확히 밝혀야 채권자들측에서도 동참할 가능성이 커진다.
채무 재조정에 성공하면 신규자금을 공급해 대우조선이 유동성위기를 넘기도록 한다는 게 금융당국의 현재 생각이다. 금융당국은 대우조선의 2016회계연도 결산결과 연간 수주 전망 등을 최대한 보수적으로 잡은 상황에서 2021년까지 부족자금을 2조원에서 3조원까지 발생할 것으로 보고 있다.
부족자금 규모는 올해 하반기와 내년 상반기에 가장 수요가 크다.
정부는 그 동안 정상적인 상황에서 대우조선의 연간수주금액을 110억~120억달러 규모로 보고 2015년 10월 4조2000억원 지원을 결정했다. 하지만 실제 수주규모는 15억5000만달러에 그쳐 부족자금 규모가 커진 것을 교훈으로 삼은 것이다.
이번 신규자금 지원은 산업은행·수출입은행을 중심으로 이뤄질 가능성이 높다. 시중은행은 선수금 환금보증(RG) 발급재개를 요청받을 수 있다.
이 문제가 해결되면 채권단에선 정치권과 관계기관을 설득해야 하는 과제만 남았다. 2015년 대우조선해양에 4조2000억원 지원을 결정할 당시에도 '밑 빠진 독에 물 붓기'라는 비판을 받은 만큼 이번에도 날선 비판이 만만치 않을 것으로 예상된다.
금융당국은 “법정관리를 결정해도 대우조선이 이미 수주한 배를 건조해 내보내는 데는 돈이 들어가며 이 규모는 정상화를 위한 지원 규모보다 더 커질 수 있다”면서 “올해 고비를 잘 넘기면 대우조선의 회사 규모를 줄여가면서 견뎌낼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