환경부, 한국P&G에 제품 성분 공개 요청
대표적인 섬유탈취제 ‘페브리즈’에 폐 손상을 유발하는 물질이 함유돼 있다는 주장이 제기됨에 따라 환경부가 ‘페브리즈’ 제조업체인 한국P&G에 제품의 성분 공개를 요청했다.
환경부의 이 같은 조치는 ‘페브리즈’에 흡입 노출 시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제4기 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돼 있어도 성분을 공개할 필요가 없다는 문제점에 따른 것이다.
환경부의 ‘페브리즈’ 성분 공개 요청에 대해 한국P&G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살균제에 들어가는 성분인 ‘제4기 암모늄클로라이드’는 흡입할 경우 폐의 상피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흡입독성을 가진 물질이다. 해당 성분이 ‘페브리즈’에 들어가 있다면 제품 사용간 흡입을 통해 폐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 중인 329개 살(殺)생물제 제품에는 가습기 살균제의 주원료로 사용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클로로메틸리소티아졸리논(CMIT),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등 유해물질이 함유돼 있다.
그러나 제품에는 함유된 성분에 대해 ‘미생물 억제제’라고만 표시돼 있을 뿐 자세한 성분 표시가 없고, 제조사 홈페이지에도 성분 정보가 나와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가 환경부의 용역 의뢰를 받아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연구·작성한 ‘바이오사이드 유효성분의 유해성 평가 기술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2,432개 살생물제 제품 중 329개(23%) 제품에서 PHMG, CMIT, MIT, CMIT/MIT, 벤즈아이소사이아졸리온(BIT),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PBC) 등의 유해물질(관심물질)이 들어있다.
BIT는 흡입할 경우 세포손상을 촉진시키고, IPBC는 도료, 섬유, 목재에 사용되는 방부제로 알레르기, 피부자극, 호흡문제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별로는 탈취제 118개, 다용도세제 25개, 냉장고 탈취제 17개, 욕실용 세제 13개, 일반 물티슈 및 섬유유연제 각 11개, 영유아용 물티슈 9개, 주방청소용 및 식기세척용 세제 각 10개, 유리용·자동차용 세제 각 5개, 홈 드라이클리닝 2개, 가죽용 세제·곰팡이 세게·오븐용 세제 각 1개, 섬유용 얼룩제거제 1개 등에 유해물질이 들어가 있었다.
업체별 조사대상 제품은 옥시레킷벤키저 134개, LG생활건강 84개, 홈플러스 70개, 이마트 57개, KCC 54개, 산도깨비 45개, 애견산업·애경에스티·롯데쇼핑·롯데마트 40개, 삼성테스코 39개, 불스원 36개, 피죤 29개, CJ라이온 27개, 보령메디앙스 25개, 헨켈홈케어코리아 24개, 태영바이오켐 23개, GS리테일 10개 등이다.
이 업체들의 살생물제 제품의 연간판매량은 옥시(7만6,620t)와 애경산업(5만6,579t)이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보령메디앙스 1만1,925t, 피죤 1만1,511t 등이었다.
그러나 전체 1,432개 제품 중 함유된 물질의 기능이 부분적으로나마 조사된 경우는 549개(38%) 수준에 머물렀다.
생활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유해물질의 파악 및 관리에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최재욱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법에서 허가했다는 부분을 잘 들여다봐야 한다”면서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이 정도 농도만 있는 것을 전제로 사용하게끔 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정용 제품으로 사용했을 때는 사용하면 안 된다거나 산업용 제품으로 사용했을 때는 사용할 수 있다거나,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서 평가가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환경부의 이 같은 조치는 ‘페브리즈’에 흡입 노출 시 나쁜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제4기 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포함돼 있어도 성분을 공개할 필요가 없다는 문제점에 따른 것이다.
환경부의 ‘페브리즈’ 성분 공개 요청에 대해 한국P&G는 긍정적으로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문가들에 따르면 살균제에 들어가는 성분인 ‘제4기 암모늄클로라이드’는 흡입할 경우 폐의 상피세포를 손상시킬 수 있는 흡입독성을 가진 물질이다. 해당 성분이 ‘페브리즈’에 들어가 있다면 제품 사용간 흡입을 통해 폐에 치명적인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국내에서 유통 중인 329개 살(殺)생물제 제품에는 가습기 살균제의 주원료로 사용된 폴리헥사메틸렌구아니딘(PHMG), 클로로메틸리소티아졸리논(CMIT), 메틸이소티아졸리논(MIT) 등 유해물질이 함유돼 있다.
그러나 제품에는 함유된 성분에 대해 ‘미생물 억제제’라고만 표시돼 있을 뿐 자세한 성분 표시가 없고, 제조사 홈페이지에도 성분 정보가 나와 있지 않은 상황이다.
한국화학연구원 부설 안전성평가연구소가 환경부의 용역 의뢰를 받아 2012년부터 2015년까지 3년간 연구·작성한 ‘바이오사이드 유효성분의 유해성 평가 기술개발’ 보고서에 따르면 국내에서 유통되는 2,432개 살생물제 제품 중 329개(23%) 제품에서 PHMG, CMIT, MIT, CMIT/MIT, 벤즈아이소사이아졸리온(BIT), 아이오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IPBC) 등의 유해물질(관심물질)이 들어있다.
BIT는 흡입할 경우 세포손상을 촉진시키고, IPBC는 도료, 섬유, 목재에 사용되는 방부제로 알레르기, 피부자극, 호흡문제 등을 유발시키는 것으로 알려졌다.
제품별로는 탈취제 118개, 다용도세제 25개, 냉장고 탈취제 17개, 욕실용 세제 13개, 일반 물티슈 및 섬유유연제 각 11개, 영유아용 물티슈 9개, 주방청소용 및 식기세척용 세제 각 10개, 유리용·자동차용 세제 각 5개, 홈 드라이클리닝 2개, 가죽용 세제·곰팡이 세게·오븐용 세제 각 1개, 섬유용 얼룩제거제 1개 등에 유해물질이 들어가 있었다.
업체별 조사대상 제품은 옥시레킷벤키저 134개, LG생활건강 84개, 홈플러스 70개, 이마트 57개, KCC 54개, 산도깨비 45개, 애견산업·애경에스티·롯데쇼핑·롯데마트 40개, 삼성테스코 39개, 불스원 36개, 피죤 29개, CJ라이온 27개, 보령메디앙스 25개, 헨켈홈케어코리아 24개, 태영바이오켐 23개, GS리테일 10개 등이다.
이 업체들의 살생물제 제품의 연간판매량은 옥시(7만6,620t)와 애경산업(5만6,579t)이 전체의 절반이상을 차지했다. 다음으로는 보령메디앙스 1만1,925t, 피죤 1만1,511t 등이었다.
그러나 전체 1,432개 제품 중 함유된 물질의 기능이 부분적으로나마 조사된 경우는 549개(38%) 수준에 머물렀다.
생활제품에 함유된 화학물질·유해물질의 파악 및 관리에 정부가 더욱 적극적으로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이다.
최재욱 고려대 의과대학 예방의학교실 교수는 한 방송과의 인터뷰에서 “법에서 허가했다는 부분을 잘 들여다봐야 한다”면서 “특정한 상황에서 특정한 방법으로 사용하고, 이 정도 농도만 있는 것을 전제로 사용하게끔 돼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가정용 제품으로 사용했을 때는 사용하면 안 된다거나 산업용 제품으로 사용했을 때는 사용할 수 있다거나, 이런 식으로 사용하는 상황에 따라서 평가가 달라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