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반기 정기 신용위험평가 포함 올해 54개사 대상
금융당국과 채권은행이 최근 실시한 신용위험평가에서 대기업 19개사가 구조조정 대상으로 선정됐다. 올해 상반기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를 포함할 경우, 올해 구조조정대상 기업은 총 54개사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11~12월 중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중 368개사에 대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19개사(C등급 11개사, D등급 8개사)를 구조조정대상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실시된 수시 신용위험평가에 올해 상반기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35개사)를 포함하면 올해 구조조정대상 기업은 총 54개사이며, 이는 지난해(34개사) 대비 20개사 늘어난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이 3개사로 가장 많고, 조선·기계제조·음식료(각 2개사), 건설·전자·석유화학·자동차·골프장(각 1개사) 등의 순이었다.
올해 전체로는 건설이 14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철강(11개사), 전자(8개사), 조선(4개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구조조정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업체 중 증자·자본유치·계열사지원·M&A·자산매각 등 자구계획이 진행 중에 있는 23개사에 대해서는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으로 분류해 자구계획 이행실적을 점검·관리하기로 했다.
이번 구조조정대상으로 선정된 19개사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총 12조5000억원이며, 충당금 추가적립 예상액은 약 1조5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 중 은행이 12조2500억원, 보험은 800억원, 여전 1000억원, 저축은행 100억원, 증권 200억원 등이며, 금융권의 손실흡수 여력 등을 감안할 경우 금융회사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금감원은 예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위험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워크아웃대상 기업(C등급)의 경우 신속한 금융지원, 자산매각 및 재무구조개선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부실기업(D등급)에 대해서는 기업회생절차 등을 통한 신속한 정리를 유도하기로 했다.
또한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 업체(23개사)에 대해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계획 불이행시 수시평가 등을 통해 조치하도록 지도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협력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주채권은행을 통해 워크아웃 진행 기업의 정상화계획 수립 전까지 B2B대출의 상환유예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독려하고, 협력업체의 애로사항에 대해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센터(금감원)’를 통해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 1월 중에는 신용위험평가 및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에 대해 외부기관(신용평가사·회계법인 등)과 공동으로 현장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금융감독원은 채권은행들이 11~12월 중 금융권 신용공여액 500억원 이상 대기업 중 368개사에 대한 수시 신용위험평가를 실시해 19개사(C등급 11개사, D등급 8개사)를 구조조정대상으로 선정했다고 30일 밝혔다.
이번에 실시된 수시 신용위험평가에 올해 상반기 정기 신용위험평가 결과(35개사)를 포함하면 올해 구조조정대상 기업은 총 54개사이며, 이는 지난해(34개사) 대비 20개사 늘어난 수치다.
업종별로 보면 철강이 3개사로 가장 많고, 조선·기계제조·음식료(각 2개사), 건설·전자·석유화학·자동차·골프장(각 1개사) 등의 순이었다.
올해 전체로는 건설이 14개사로 가장 많았으며, 철강(11개사), 전자(8개사), 조선(4개사)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이 외에 구조조정대상이 될 가능성이 있는 업체 중 증자·자본유치·계열사지원·M&A·자산매각 등 자구계획이 진행 중에 있는 23개사에 대해서는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으로 분류해 자구계획 이행실적을 점검·관리하기로 했다.
이번 구조조정대상으로 선정된 19개사에 대한 금융권 신용공여액은 총 12조5000억원이며, 충당금 추가적립 예상액은 약 1조5000억원으로 예상된다.
이 중 은행이 12조2500억원, 보험은 800억원, 여전 1000억원, 저축은행 100억원, 증권 200억원 등이며, 금융권의 손실흡수 여력 등을 감안할 경우 금융회사 건전성에 미치는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금감원은 예상하고 있다.
금융당국은 신용위험평가의 실효성을 높이기 위한 노력을 강화한다는 방침이다.
이번 워크아웃대상 기업(C등급)의 경우 신속한 금융지원, 자산매각 및 재무구조개선 등을 통해 경영정상화를 추진하고, 부실기업(D등급)에 대해서는 기업회생절차 등을 통한 신속한 정리를 유도하기로 했다.
또한 ‘자체 경영개선 프로그램’ 대상 업체(23개사)에 대해 이행상황을 정기적으로 모니터링하고, 개선계획 불이행시 수시평가 등을 통해 조치하도록 지도한다는 계획이다.
금융당국은 협력업체들의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 주채권은행을 통해 워크아웃 진행 기업의 정상화계획 수립 전까지 B2B대출의 상환유예가 원활히 이뤄지도록 독려하고, 협력업체의 애로사항에 대해 ‘중소기업 금융애로 상담센터(금감원)’를 통해 지속적으로 파악하고 지원을 강화하기로 했다.
내년 1월 중에는 신용위험평가 및 사후관리의 적정성 등에 대해 외부기관(신용평가사·회계법인 등)과 공동으로 현장점검도 실시할 예정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