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해 138억원…SKT와 임대협약 후 추가 20억↑
한국철도시설공단(이사장 강영일)이 28일 철도통신용 관로 임대사업으로 올해 158억원의 수익을 창출했다고 밝혔다.
철도시설공단은 2005년부터 한국전파기지국, LGU+, KT 등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들에게 철도통신용 관로 임대사업을 하며 수익을 발생. 고속철도 건설부채 상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수익이 138억원이었지만, 최근 SK텔레콤과 통신관로 임대협약을 맺고 20억원의 추가수익을 발생하는 데 성공했다.
철도통신용 전선관로 임대로 공단은 매년 158억원의 수익을 창출, 기간통신사업자는 5G이동통신 및 IOT(사물인터넷) 등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개발해 제공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는 시설물 공동사용으로 중복투자와 난공사를 방지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될 기대감이 높다.
철도공단은 최근 대전 본사 1층 직원 출입구에 공단의 부채규모와 일일 금융비용 등을 보여주는 'KR 부채시계'를 설치하는 등 부채감축을 위한 자구노력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철도시설공단은 2005년부터 한국전파기지국, LGU+, KT 등 국내 기간통신사업자들에게 철도통신용 관로 임대사업을 하며 수익을 발생. 고속철도 건설부채 상환에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있다.
지난해까지는 수익이 138억원이었지만, 최근 SK텔레콤과 통신관로 임대협약을 맺고 20억원의 추가수익을 발생하는 데 성공했다.
철도통신용 전선관로 임대로 공단은 매년 158억원의 수익을 창출, 기간통신사업자는 5G이동통신 및 IOT(사물인터넷) 등 고품질의 통신서비스를 비교적 낮은 비용으로 개발해 제공할 수 있다.
국가적으로는 시설물 공동사용으로 중복투자와 난공사를 방지 등 다양한 효과가 발생될 기대감이 높다.
철도공단은 최근 대전 본사 1층 직원 출입구에 공단의 부채규모와 일일 금융비용 등을 보여주는 'KR 부채시계'를 설치하는 등 부채감축을 위한 자구노력에 만전을 기하고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