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은행 자금지원…기업 공동투자 투자리스크 분담
기업의 신성장 산업 투자를 유도하기 위해 30조원 규모의 기업투자촉진프로그램을 본격 가동된다. 기존 대출방식의 금융지원이 아닌 기업과의 공동투자 등을 통한 투자리스크 분담형태로 수요에 따라 탄력적으로 운영되며, 산업은행을 통해 자금이 지원된다.
금융위원회는 2일부터 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30조원 상당의 ‘기업투자촉진 프로그램’ 운영계획을 확정해 시행한다고 지난 1일 밝혔다.
기업투자촉진 프로그램은 기존 대출방식의 금융지원과는 다른 방식으로, 기업과의 공동투자 등을 통해 투자리스크를 분담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신성장산업과 주력산업,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등에서 투자수요를 적극 발굴하고, 사전 수요조사 과정에서 파악된 프로젝트들에 대해서는 신속히 검토절차를 진행하는 방식에 맞춰 수요에 따라 탄력적, 맞춤형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산업은행을 통해 15조원의 자금을 지원하게 되며 기업(민간) 투자까지 모두 30조원 상당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원대상으로는 중소·중견·대기업 모두가 해당되고 신성장산업과 전통 주력산업, SOC·인프라 투자를 중심으로 그 밖의 다른 분야도 지원이 가능하다.
신성장산업은 보건·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물류, 소프트웨어 등 유망서비스 산업과 13대 미래성장동력 산업, 17대 신성장동력 산업 등이 해당된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기계, 철강, 정유·화학 산업 등은 주력산업에 포함되며, SOC, 플랜트 건설, 산업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은 대형 투자프로젝트에 포함된다.
지원 방식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리스크 분담 방식의 지원 취지를 감안해 주식과 주식관련채(상환전환우선주, 전환사채 등) 인수 위주로 하되, 기업수요와 프로젝트 특성 등에 따라 투융자 복합금융, 회사채, 대출 등 다방면의 지원 방식이 활용된다.
현재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파악된 해당 프로그램 지원 수요는 약 5조원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산업은행은 2월 2일부터 기업의 지원 신청을 받는다.
금융위는 “이번 프로그램에 희망하는 투자프로젝트 수요에 대해 산업은행이 신속하게 사업성 검토 등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프로그램을 본격 시행하게 되면 신청 규모는 더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금융위원회는 2일부터 기획재정부, 미래창조과학부 등 관계부처와 함께 30조원 상당의 ‘기업투자촉진 프로그램’ 운영계획을 확정해 시행한다고 지난 1일 밝혔다.
기업투자촉진 프로그램은 기존 대출방식의 금융지원과는 다른 방식으로, 기업과의 공동투자 등을 통해 투자리스크를 분담하는 방식이다.
이를 통해 신성장산업과 주력산업, 사회간접자본(SOC) 분야 등에서 투자수요를 적극 발굴하고, 사전 수요조사 과정에서 파악된 프로젝트들에 대해서는 신속히 검토절차를 진행하는 방식에 맞춰 수요에 따라 탄력적, 맞춤형으로 운영될 예정이다.
금융당국은 산업은행을 통해 15조원의 자금을 지원하게 되며 기업(민간) 투자까지 모두 30조원 상당의 투자를 유도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지원대상으로는 중소·중견·대기업 모두가 해당되고 신성장산업과 전통 주력산업, SOC·인프라 투자를 중심으로 그 밖의 다른 분야도 지원이 가능하다.
신성장산업은 보건·의료, 관광, 콘텐츠, 교육, 물류, 소프트웨어 등 유망서비스 산업과 13대 미래성장동력 산업, 17대 신성장동력 산업 등이 해당된다.
반도체, 자동차, 조선, 기계, 철강, 정유·화학 산업 등은 주력산업에 포함되며, SOC, 플랜트 건설, 산업 인프라 구축 사업 등은 대형 투자프로젝트에 포함된다.
지원 방식은 여러 가지 다양한 방법으로 진행된다.
먼저 리스크 분담 방식의 지원 취지를 감안해 주식과 주식관련채(상환전환우선주, 전환사채 등) 인수 위주로 하되, 기업수요와 프로젝트 특성 등에 따라 투융자 복합금융, 회사채, 대출 등 다방면의 지원 방식이 활용된다.
현재 사전 수요조사를 통해 파악된 해당 프로그램 지원 수요는 약 5조원 수준으로 파악되고 있으며, 산업은행은 2월 2일부터 기업의 지원 신청을 받는다.
금융위는 “이번 프로그램에 희망하는 투자프로젝트 수요에 대해 산업은행이 신속하게 사업성 검토 등 절차를 진행할 계획”이라며 “프로그램을 본격 시행하게 되면 신청 규모는 더 확대될 것”이라고 예상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