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대륙붕·신재생에너지 육성사업 지원 강화
|
정부가 주도했던 해외자원개발사업이 앞으로는 민간 주도로 바뀌고 국내 대륙붕 개발 사업과 신재생에너지 육성 사업에 대한 지원이 더욱 강화될 전망이다.
산업통상자원부는 19일 제2차 에너지위원회를 열고 ‘국내외 자원개발과 신재생에너지 분야 중장기 기본계획’을 발표했다.
이에 따르면 앞으로 공기업은 해외 자원 개발 사업에 투자할 때 외부 전문가가 참여하는 ‘투자리스크위원회’를 운영하고 탐사 단계는 공기업이 주도하되, 개발·생산 단계에서는 민간 기업의 참여를 확대하는 방안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민간투자 촉진을 위해 융자지원을 확대하고, 해외자원개발 펀드의 투자위험보증 규모도 2017년 4조원으로 늘릴 계획이다.
정부는 또 기업과 대학에 산·학협력연구단을 구성해 기업이 필요로 하는 석·박사급 고급전문인력을 양성하고, 아랍에미리트연합(UAE) 아부다비 석유대학과 공동으로 글로벌 전문가를 육성할 방침이다.
아울러 국내 대륙붕 내 경제성 있는 생산광구를 확보하고, 기존 시설물을 확보해 연관 사업을 적극 육성한다. 이를 위해 2023년까지 울릉, 서해, 제주의 대륙붕에 최대 9공의 시추탐사를 실시한다.
가스하이드레이트의 경우 최근 시뮬레이션 결과를 고려해 2015년 예정이던 현장시험생산계획을 연기한다. 다만 6억 2000만톤 규모로 확인된 부존자원을 개발하기 위한 연구개발(R&D)이 추진된다.
중국과 서해분지의 공동 탐사를 추진하고, 한-일 공동개발구역 개발을 추진하고, 총 사업비 101억원을 들여 2016년 강원도 정선에 국가암추센터를 설립할 계획이다.
이외에도 안전 관련 법령과 제도, 기술 등을 재검토해 광산안전관리를 강화하며, 실증 단계의 R&D 확대를 통해 상업화 가능성도 높인다.
2035년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을 1차 에너지(가공하지 않은, 천연 상태로 얻을 수 있는 에너지) 기준 11%까지 확대하고, 에너지원 별로는 폐기물 비중은 축소하는 대신 태양광과 풍력을 핵심원으로 육성한다.
이를 위해 정부는 발전소 온배수 같이 국내 여건에 적합한 신규 에너지원을 발굴하고, 시장 친화적 제도 개선 등을 통해 민간의 자발적 투자를 확대해 나갈 예정이다.
한편 현재 정부가 추진 중인 ‘동해-1 가스전’은 지난 2004년 생산 개시 후 2조 2000억원의 수입 대체 효과를 거두고 있으며, 이와 연계해 인근 동해-2 가스전도 개발 중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