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제세 의원, 이자비용 연간 2조8000억원 감소 추정
한국은행이 지난달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인하했지만 가계소득에 별 도움 안 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는 가계 이자소득이 대출이자 비용보다 더 많이 줄어드는 것으로 추정됐기 때문이다.
지난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오제세 의원에 한국은행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단행한 기준금리 인하분만큼 시장금리와 예대금리가 하락할 경우 가계가 대출이자 등을 갚느라 지출하는 이자비용은 연간 2조8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가계 예·적금 이자소득 감소액은 연간 4조4000억원으로, 이자비용 감소분의 1.6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낫다.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의 이자소득이 더 크게 줄어드는 것은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이 금융부채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현재 가계의 금융자산은 2636조원으로 금융부채 1219조원의 2.2배다.
소득분위별로 따졌을 경우 모든 가구에서 이자지출보다 이자소득 감소액이 더 큰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을 때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이자소득은 연간 2조1000억원 줄어 이자지출 감소분(1조2000억원)보다 9000억원 많았다.
아울러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경우 연간 이자소득이 2000억원, 이자지출은 1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자소득에서 이자지출을 뺀 이자수지는 2분위(-1000억원) 3분위(-2000억원) 4분위(-3000억원)에서 모두 악화됐다.
한편, 시중은행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예·적금 이율은 크게 내리면서 대출 이율은 터무니없이 적게 내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자소득 감소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지난 15일 국회 기획재정위원회 소속 새정치민주연합 오제세 의원에 한국은행이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지난달 단행한 기준금리 인하분만큼 시장금리와 예대금리가 하락할 경우 가계가 대출이자 등을 갚느라 지출하는 이자비용은 연간 2조8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됐다.
또한 가계 예·적금 이자소득 감소액은 연간 4조4000억원으로, 이자비용 감소분의 1.6배에 달한 것으로 나타낫다. 기준금리 인하로 가계의 이자소득이 더 크게 줄어드는 것은 우리나라 가계의 금융자산이 금융부채보다 더 많기 때문이다. 실제로 지난해 말 현재 가계의 금융자산은 2636조원으로 금융부채 1219조원의 2.2배다.
소득분위별로 따졌을 경우 모든 가구에서 이자지출보다 이자소득 감소액이 더 큰 것으로 추산됐다. 이는 기준금리를 0.25% 포인트 내렸을 때 소득 상위 20%인 5분위 가구의 이자소득은 연간 2조1000억원 줄어 이자지출 감소분(1조2000억원)보다 9000억원 많았다.
아울러 소득 하위 20%인 1분위 가구의 경우 연간 이자소득이 2000억원, 이자지출은 1000억원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자소득에서 이자지출을 뺀 이자수지는 2분위(-1000억원) 3분위(-2000억원) 4분위(-3000억원)에서 모두 악화됐다.
한편, 시중은행이 한은의 기준금리 인하 이후 예·적금 이율은 크게 내리면서 대출 이율은 터무니없이 적게 내리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이자소득 감소는 더 클 것으로 예상된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