착공·분양·준공 실적 모두 증가한 모습 보여
|
7월 주택 인·허가를 비롯해 착공·분양·준공 실적 모두 증가했다. 그러나 전반적으로 수도권보다 지방이, 공공보다 민간이 증가세를 보였다.
19일 국토부에 따르면 지난 7월 주택 인·허가 실적은 전국 4만4,572가구로 전년동월대비 22.9% 증가했다. 7개월 연속 증가세가 이어지고 있다. 또한 올해 1~7월 누계실적이 26만4,535가구에 달하면서, 지난해 같은 기간 보다 22.2% 증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경기 안산 초지 연립단지 재건축 등 도시정비 실적 영향으로 6.3% 증가한 2만2,171가구가 인·허가 받았고, 지방은 광주지역 지역주택조합물량과, 세종지역 실적 급증으로 45.4% 증가한 2만2,401가구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만8,419가구, 아파트외 주택이 1만6,153가구로 각각 35.7%, 5.4% 증가한 반면, 도시형생활주택은 6,265가구로 21.4% 감소하면서, 지난해 이후 감소세를 이어나갔다. 주체별로는 공공 228가구, 민간 4만4,344가구로 조사됐다.
주택 착공실적은 전국 3만4,378가구로, 전년동월대비 6.1% 늘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경기지역 착공물량이 감소하면서 21.0% 감소한 1만3,608가구로 나타났다. 그러나 지방은 경북․제주지역 공공임대 아파트 착공 증가에 따라 36.7% 증가한 2만770가구가 착공됐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1만8,618가구, 아파트 외 주택은 15,760가구로 각각 2.6%, 10.5%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은 5,302가구, 민간은 2만9,076가구로 집계됐다.
공동주택 분양(승인)실적은 전국 1만8,030가구로 지난해 7월보다 26.6% 증가했다. 지역별로 살펴보면 수도권은 서울지역의 실적 감소에도, 인천실적 증가영향으로 전년대비 9.7% 증가한 7,919가구가 분양(승인) 됐고, 지방은 포항 창포지구(2,269가구), 부산 신평(900가구, 주거환경개선사업) 등의 분양증가로 44.1% 증가한 1만111가구로 조사됐다.
유형별로는 분양이 1만4,683가구로 100.2% 증가한 반면, 임대는 3,207가구, 조합은 140가구로 각각 50.7%, 65.3% 감소했다. 주체별로는 공공이 4,331가구로 46.3% 감소했지만, 민간은 1만3,699가구로 121.9% 증가한 것으로 집계됐다.
주택 준공실적은 전국 4만2,111가구로, 전년동월대비 107.4% 증가했다. 지역별로 수도권은 서울(SH 내곡·세곡2지구), 경기(하남미사·수원호매실 등 택지지구), 인천(간석지구·구월지구)지역 실적이 모두 증가하면서, 89.6% 증가한 1만6,911가구가 준공됐다. 지방은 광주(533.4%)·경남(114.6%)·전남(105.3%)지역을 중심으로 121.2% 증가한 2만5,200세대로 나타났다.
유형별로는 아파트가 2만6,442세대, 아파트 외 주택이 1만5,669세대로 각각 401.7%, 4.2% 증가하였다. 주체별로는 공공이 LH 및 SH 실적 증가 영향으로 총 9,159세대, 민간은 3만2,952세대로 조사됐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