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기업 사외이사 37% ‘관피아’
대기업 사외이사 37% ‘관피아’
  • 이수일 기자
  • 승인 2014.06.25 10:3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관료 출신 60%는 4대 핵심 권력기관 출신
▲올 1분기는 지난해와 비교해 49개 그룹 사외이사가 명 줄었지만 관료출신은 오히려 9명 늘어났다. (자료 : CEO스코어)


세월호 참사를 계기로 관피아에 대한 사회적 비난 여론이 높지만 바람막이용 권력기관 출신 사외이사 선호도는 되레 높아진 것으로 조사됐다.

25일 기업경영성과 평가사이트인 CEO스코어가 올해 1분기 49개 그룹 238개 상장사의 사외이사 출신 이력을 조사한 결과, 총 750명 중 36.9%인 277명이 관료 출신이라고 밝혔다.

지난해와 비교해 전체 사외이사 수는 7명 줄었지만, 관료 출신은 268명에서 9명이 늘어 이들의 비중도 35.4%에서 1.5%p 상승했다. 또한 올해 49개 그룹 사외이사의 관료 출신 비중은 37%로 전년보다 2%p 높아졌다.

올 들어 대기업 사외이사는 국세청(관세청)과 감사원 출신이 11명(20%) 이상 늘며 핵심 권력기관 출신에 대한 선호도를 반영했다. 이에 따라 법원·검찰을 비롯해, 국세청·공정거래위원회·감사원 등 4대 권력기관 출신 인사는 165명에서 173명으로 늘었고, 관료 사외이사 내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61.6%에서 62.5%로 높아졌다.

법조(법원·검찰) 출신 인사가 84명으로 가장 많았고, 세무(국세청·관세청) 50명, 공정위 24명, 감사원 15명 순이었다. 반면 학계와 재계 출신 사외이사는 381명에서 367명으로 14명(-4%) 감소했고, 그 빈자리를 관료 출신 인사가 고스란히 차지했다.

그룹별로는 신세계가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가장 높았다. 7개 상장사 17명의 사외이사 중 무려 82.4%인 14명이 관료 출신 인사였다. 신세계·이마트·신세계아이앤씨·신세계푸드 등 전체 상장사의 절반이 넘는 4곳에서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100%를 보였다.

2위는 영풍으로 13명 중 9명(69.2%)이 관료 출신 인사였고, 현대산업개발(66.7%), 롯데(65.5%), 동국제강(63.2%), CJ(60.7%) 등이 60% 이상으로 뒤를 이었다.

현대자동차, 한국타이어, 세아, 삼천리는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절반을 차지했고, 하이트진로, 이랜드, 미래에셋, 대우조선해양은 관료 출신 사외이사가 한 명도 없었다.


▲신세계·이마트·신세계아이앤씨·신세계푸드는 관료 출신 사외이사 비중이 100%를 보였다. (자료 : CEO스코어)


특히, 올 들어 국세청 및 관세청 출신 인사들이 사외이사 진출이 더욱 활발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세청 및 관세청 출신 인사로는 HMC투자증권 임성균(광주지방국세청장), SK네트웍스 허용석(관세청장), LS산전 이병국(서울지방국세청장) 등이 대표적이다. 롯데쇼핑과 KT&G의 사외이사를 겸직 중인 박동열도 대전지방 국세청장 출신이다. 동부제철 원유승, 현대엘리베이터 박의명은 감사원 국장 출신으로 올해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국세청 및 관세청 출신 인사로는 HMC투자증권 임성균(광주지방국세청장), SK네트웍스 허용석(관세청장), LS산전 이병국(서울지방국세청장) 등이 대표적이다. 롯데쇼핑과 KT&G의 사외이사를 겸직 중인 박동열도 대전지방 국세청장 출신이다. 동부제철 원유승, 현대엘리베이터 박의명은 감사원 국장 출신으로 올해 주총에서 사외이사로 선임됐다.

대기업 그룹 사외이사 중에는 검찰총장, 장관 등 고위 관료 출신 인사도 대거 포진해 있다.

두산엔진 정구영(23대 검찰총장) 사외이사를 비롯해 금호산업 김도언(26대), 삼성전자 송광수 사외이사(33대), CJ오쇼핑 김종빈(34대) 사외이사 등이 역대 검찰총장을 지냈다.

삼성생명보험 박봉흠(기재부), 삼성증권 김성진(해수부), SK C&C 이환균(국토부), SK이노베이션 김영주(산업부), GS 이귀남(법무부), KT 김종구(법무부), CJ대한통운 이기호(노동부), 고려아연 이규용(환경부), 코오롱인더스트리 김성호(복지부), 삼천리 곽결호(환경부) 등은 장관 출신이다.

CEO스코어는 “관피아 역풍이 거세지만 대기업들조차 각종 규제 등 공권력에 대한 방어 수단으로 권력기관 출신 관료들을 대거 영입했다”면서, “사외이사가 대주주 일가의 독단경영과 전횡을 차단하기 위해 도입된 제도지만 기업이 오히려 외풍을 막는 ‘바람막이’로 악용하는 있다”고 지적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