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간소비는 올해와 유사한 증가세...부동산 경기 개선도 개선"
"서비스물가 올해보다 높은 상승률 기록할 것"
"통화정책 정책금리 인하 등 완화적으로 운용될 것"
2025년 중국경제는 미·중 무역갈등 심화, 글로벌 경기둔화 등 대외 불확실성이 높아지면서 성장의 하방압력이 커질 것으로 예상되나, 정부의 정책 지원에 힘입어 4% 초중반 수준의 성장세를 보일 것이라는 전망이 나왔다.
한국은행 북경사무소는 지난 20일 공개한 차이나위클리 '2025년 중국경제 전망 및 주요 이슈'에서 이같이 전망했다.
한은 북경사무소는 최근 중국경제는 생산, 투자, 수출 등이 호조세를 이어갔으나, 부동산 시장 부진이 이어지고, 소비 증가세가 둔화되는 등 부문별로 차별화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언급했다.
올해 공업생산은 전기·가스·수도업(2023년 4.3% → 2024년 1∼11월 5.8%, 이하 같은 기준), 제조업(5.0% → 5.9%), 광업(2.3% → 3.2%)이 모두 2023년에 비해 증가세가 확대됐다.
고정자산투자의 경우 제조업투자(6.5% → 9.3%)의 증가세가 확대됐으나, 인프라투자 (5.9% → 4.2%)는 증가세가 둔화되고 부동산개발투자(-9.6% → -10.4%)는 부진이 이어 졌다.
수출은 반도체 등 글로벌 IT 업황 호조, 중국기업들의 공격적인 수출전략, 기저 효과 등으로 증가 전환(-4.7% → 5.3%)했다. 수입은 기저효과 등에 주로 영항을 받아 증가로 전환(-5.5% → 1.2%)했으나, 내수 개선세 미약 등으로 수출에 비해 증가폭이 작았다. 반면 소매판매는 상품판매(5.8% → 3.2%)와 외식업판매(20.4% → 5.7%)이 모두 증가세가 둔화됐다.
고용사정을 보면 실업률이 전년과 동일한 수준을 유지하는 가운데, 청년층 실업률 은 취업난이 지속되면서 높은 수준을 보이고 있다.
한은 북경사무소는 올해 경제성장의 주요 동력이 었던 내년도 수출은 대외 불확실성 확대로 증가세가 둔화되고 대외여건 변화에 따라 변동성도 커질 것으로 예상했다. 게다가 경제주체들의 소비심리 위축, 고용시장 부진, 저 출산·고령화 가속화 등 여러 단기·중기적 도전 과제에도 직면해 있다고 내다봤다.
이에 따라 2025년 중국정부는 적극적 재정 및 통화정책을 활용하여 내수 확대, 구조 개혁 등 전방위적 으로 경제정책을 운영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러한 정책 지원은 내수 부진 완화와 인프라·제 조업 투자 확대 등을 통해 성장둔화 흐름을 개선하는 데 기여할 것으로 예상했다.
민간소비는 2024년과 유사한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부동산 경기는 점차 개선될 것으로 전망했다.
소비자물가는 서비스 가격을 중심으로 완만한 오름세를 이어가면서 올해 보다는 다소 높은 상승률을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재정정책은 지방정부 부채 부담 경감, 내수진작 등을 위해 재정적자 규모를 늘리는 가운데, 특별국채, 지방특별채권 등의 발행규모가 확대될 것으로 전망했다.
통화정책은 인민은행이 경제성장과 완만한 물가 상승 등을 위해 특별재대출 제도, 정책금리 인하 등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완화적으로 운용할 것으로 전망했다.
한은 북경사무소는 2025년 중국경제의 주요 이슈로 최근 중국 민간소비 부진 원인 및 평가, 트럼프 행정부의 예상 주요 정책이 중국 경제에 미칠 것으로 봤다.
최근 민간소비 부진은 경기 불확실성 확대에 따른 소비심리 위축, 저 물가 상황 지속에 따른 소비이연 가능성, 민간부문 소득 여건 악화, 급격한 인구구조 변화 등에 주로 기인한 것으로 판단했다.
2025년 민간소비는 대외 불확실성 확대에도 불구하고 중국정부의 강력한 경기부양책이 어느 정도 효과를 나타내면서 2024년과 유사한 수준의 증가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한은 북경사무소는 트럼프 2기의 정책은 트럼프 1기때와 마찬가지로 중국 경제에 상당한 부정적 영향을 초래할 수 있겠으나, 중국 정부가 적극적으로 대응해 나감으로써 그 충격을 완화할 것으로 예상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