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업계, 해외투자자, 국제신용평가사 등 대외소통에 총력"
경제금융수장들은 13일 최근 상황에 따른 불확실성이 여전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고, 관계기관이 긴밀히 공조해 금융·외환시장 상황을 24시간 점검하면서 무제한 유동성 공급(4일~) 등 시장안정조치를 지속해 나가기로 했다.
아울러, 주말 정치상황을 예의주시하면서 대비하고, 변동성이 과도하게 나타나는 경우에는 추가 시장안정조치를 적기에 시행하기로 햇다.
최상목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은 이날(금) 07:30 은행연합회관에서 한국은행 이창용 총재, 금융위원회 김병환 위원장, 금융감독원 이복현 원장과 함께 긴급 거시경제·금융현안 간담회를 개최하여, 이같은 금융·외환시장 동향 및 대응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전일(12일) 주식시장은 기관투자자 매수세 지속 등으로 3일 연속(10~12일) 상승하면서 그간 낙폭을 점차 회복하는 모습을 보였고 국채 금리도 안정적 흐름을 지속한 것으로 나타났다.
각 기관들은 최근 상황이 대외신인도에 영향을 주지 않도록 대외소통에 총력을 다하고 있다.
여신금융포럼(11일, 금융위), 기관전용사모펀드(PEF) 운용사 간담회(12일, 금감원) 등 금융업계와의 긴밀한 소통을 통해 시장 참여자들이 우리 경제에 대한 신뢰를 갖고 차분하게 역할을 다해줄 것을 당부하고, 일본 재무장관 화상면담(12일, 부총리), 한국-캐나다 경제안보포럼(11일, 기재부)을 통해 주요국들에 정부의 시장안정 노력을 적극 설명했다.
한편, 참석자들은 3대 국제신용평가사(스탠다드앤드푸어스(S&P), 피치, 무디스)가 경제부총리와의 컨퍼런스콜(12일) 이후, 최근 정치적 상황에도 한국의 신용등급은 여전히 안정적이라고 하면서 이번에 오히려 한국의 제도적 강인함과 회복력을 체감할 수 있었다고 한 것은 우리 경제에 대한 국제사회의 신뢰를 재확인해주는 것이라고 평가했다.
특히, S&P는 최근 상황에도 불구하고, 한국의 국가 시스템이 잘 작동하였다는 점이 신용평가사에게는 가장 중요한 부분이라고 언급했으며, 상황 직후 이루어진 정부·한은의 신속한 시장안정조치는 한국의 경제 시스템이 얼마나 강건한지 보여주는 사례라고 평가하기도 했다.
한편, 이날 회의 후 최 부총리는 외투기업 간담회를 통해 한국의 양호한 투자 환경을 설명하고, 외국인 투자에 대한 정부의 적극적 지원을 강조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