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0인 이상 기업 긴축경영 기조는 61%로 9년 만에 최대치
2025년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 중 49.7%는 내년 경영계획 기조를 ‘긴축경영’으로 계획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300인 이상 규모 기업에서는 긴축경영 응답이 61%로 나타나, 2016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게 나타났다.
한국경영자총협회가 30인 이상 기업 239개사(응답 기업 기준) 최고경영자(CEO) 및 임원을 대상으로 '2025년 기업 경영전망 조사'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조사결과에 따르면, 내년 경영계획 수립기업의 기조는 ‘긴축경영’이라는 응답이 49.7%로 가장 높았다. 이는 2019년 조사 이후 가장 높은 수준이다. ‘현상 유지’는 28.0%, ‘확대경영’은 22.3%로 집계됐다.
응답 기업의 65.7%는 2025년 경영계획의 ‘최종안을 확정(4.2%)’했거나, ‘초안은 수립했다(61.5%)’고 답변(2025년 경영계획 수립기업)했다. 응답 기업의 34.3%는 ‘초안도 수립하지 못했다’고 답변했다.
‘긴축경영’ 응답은 300인 이상 규모 기업(61.0%)이 300인 미만 규모 기업(45.7%)보다 15.3%p 높았다. 300인 이상 기업의 ‘긴축경영’ 응답(61.0%)은 2016년 조사 이후 9년 만에 가장 높게 나타난 것이다.
내년 기조를 ‘긴축 경영’으로 응답한 기업의 구체적인 시행계획은 ‘전사적 원가절감’(66.7%) 응답이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인력운용 합리화’(52.6%), ‘신규투자 축소’(25.6%) 順으로 나타났다. 이는 ‘긴축경영’이라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조사한 수치이다. 2개까지 복수응답이 가능해 각 항목 비중의 합이 100을 초과한다.
경영계획을 수립한 기업을 대상으로 내년 투자 및 채용계획을 설문한 결과, 투자계획은 ‘금년(2024년)보다 축소’가, 채용계획은 ‘금년(2024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올해 대비 ‘투자 축소’ 응답이 39.5%로 가장 높았고, ‘금년 수준’ 35.0%, ‘투자 확대’ 25.5% 順으로 집계됐다. ‘투자 축소’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58.5%)이 300인 미만 기업(32.8%)보다 25.7%p 높았다.
내년 채용 계획은 ‘금년(2024년) 수준’이라는 응답이 44.6%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으로 ‘채용 축소’ 36.9%, ‘채용 확대’ 18.4% 順으로 집계됐다. ‘채용 축소’ 응답은 300인 이상 기업(53.7%)이 300인 미만 기업(31.1%)보다 22.6%p 높게 나타났다.
긴축경영 기조(300인 이상 61.0% vs. 300인 미만 45.7%), 투자 축소(300인 이상 58.5% vs. 300인 미만 32.8%), 채용 축소(300인 이상 53.7% vs. 300인 미만 31.1%) 모두 대기업(300인 이상)이 중소기업(300인 미만)보다 높게 나타난 것은, 최근 어려운 경제환경에 대해 대기업이 매우 엄중하게 판단하고 있음을 반영한 결과로 경총은 추정했다.
내년 기업 경영상 주된 애로요인으로는 ‘내수 부진’(66.9%)과 ‘인건비 부담 가중’(64.0%) 응답이 상대적으로 높았다. 그 다음으로는 ‘美, 中 등 주요국 성장세 둔화’(19.7%), ‘글로벌 보호무역주의 확산’ (16.3%) 順으로 나타났다.
경총은 내년 경영상 애로요인으로 응답기업의 64%가 ‘인건비 부담 가중’을 응답한 점, 경영계획 기조로 ‘긴축경영’을 응답한 기업 중 절반 이상(52.6%)이 ‘인력운용 합리화’를 계획하고 있는 결과는 기업들이 우리 노동시장에서 인건비를 비롯한 인력운영에 매우 큰 부담을 체감하고 있는 현실을 반영한 것으로 추정했다.
내년 1월 출범할 美 트럼프 정부의 정책이 우리 경제에 어떠한 영향을 미칠 것인지 묻는 설문에서는, 응답기업의 82.0%가 ‘보호무역주의 강화 등으로 수출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부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라고 답했다. ‘對中 견제에 따른 반사이익, 한・미 협력 강화 등으로 우리 경제에 전반적으로 긍정적 영향이 더 클 것’이란 응답은 7.5%에 그쳤다.
이 외 ‘산업별로 차이가 있을 것이나, 전반적으로 큰 영향 없을 것’ 9.2%, ‘기타’ 1.3%로 응답했다.
국내 경기 회복세가 본격화되는 시점에 대해서는 ‘2026년 이후’ 응답이 59.8%로 가장 많았고, 그 다음으로 ‘2025년 하반기’가 28.0%로 나타났다. 기업들이 전망한 내년 우리나라 경제성장률은 평균 1.9%로 집계됐다.
現 주력사업이 향후 주요 수익원으로 가능한 기간에 대해서는 ‘5년 미만’ 응답이 52.7%, ‘5년 이상’ 응답이 47.3%로 나타났다. ‘5년 미만’이라고 응답한 기업을 대상으로 ‘現 주력사업을 대체할 사업의 진행 여부’를 설문한 결과, ‘대체사업이 결정되지 않았거나, 검토하지 않았다’는 응답(58.8%)이 가장 많았다. ‘대체사업이 결정되어 현재 사업을 진행중’이라는 응답은 19.8%였다.
경총 하상우 경제조사본부장은 “내수부진, 높은 인건비 부담과 함께 보호무역주의 확산 등 대외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면서 기업, 특히 대기업들의 ‘긴축경영’ 기조가 크게 높아졌다”며, “내년도 경기상황이 크게 개선되기는 어려울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기업이 투자를 확대할 수 있는 유인 마련이 시급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일률적 정년연장 같이 노동시장 현실을 간과하고 기업에게만 과도한 부담을 부과하는 정책이나, 글로벌 스탠다드를 넘어서는 과도한 지배구조 규제 같은 기업 활동을 위축시키는 정책은 지양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