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북한의 천안함 공격에 따른 대응조치의 일환으로 실시되는 한국군 단독의 서해 해상기동훈련이 5일 시작됐다. 군 당국에 따르면 이날 오전 7시께 아시아 최대 상륙함인 독도함(1만4천t) 등 참가 함정들의 출항으로 훈련이 시작됐고 전술기동훈련과 대잠수함 추적 훈련, 해상자유공방전, k-9 자주포 사격훈련 등이 이어졌다. ![]() 해군 관계자는 "오늘 해상 훈련은 주로 태안반도 격렬비열도 북방 및 남방해상에서 실시됐고 자정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밝혔다. ![]() 대잠수함 추적 훈련은 4천400t급 구축함인 최영함이 적 잠수함을 식별하고 구축함에 탑재된 링스헬기가 출격해 어뢰를 발사하는 한편 초계함인 대천함(1천200t급)이 폭뢰로 공격하는 방식으로 진행됐다. ![]() 북방한계선(nll)에 인접한 서해 5도 지역에선 k-9 자주포 사격 훈련이 있었다. 군 관계자는 "해병대가 보유한 연평도의 k-9 자주포가 서남쪽 방향 해상으로 사격을 실시했다"고 밝혔다. ![]() 오는 9일까지 닷새간 진행되는 이번 훈련에는 해군과 공군, 육군, 해병대, 해경의 전력과 병력이 합동으로 참가하며 잠수함 3척을 포함한 함정 29척, 항공기 50여대, 병력 4천500명이 투입된다. ![]() 해군에선 독도함을 비롯해 4천500t급 한국형 구축함(kdx-Ⅱ), 1천200t급 및 1천800t급 잠수함, 호위함과 초계함, 유도탄고속함, 고속정 등 함정 29여척과 대잠 헬기(링스), 해상초계기(p3-c) 등이 참가한다. ![]() 공군은 kf-16 전투기 20여대가 참여해 근접 항공지원 임무를 수행한다. ![]() 육군은 서해안 경계부대가, 해병대는 서북도서에 배치된 부대가 참가해 특수전부대의 침투에 대비한 훈련 등을 실시한다. ![]() 훈련 둘째날에는 대잠자유공방전, 해안포 공격 대비 훈련, 적 특수작전부대 침투 대비 훈련이, 셋째날에는 합동 대공사격 훈련과 야간 대잠자유공방전이, 넷째날에는 대함사격 훈련과 적어뢰 탐지대응훈련이 실시되며 마지막 날인 9일에도 잠수함 침투에 대비한 훈련이 이어진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