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감독원은 6월 말 기준 국내은행의 원화대출 연체율(1개월 이상 원리금 연체기준)이 0.35%로 전월 말(0.40%) 대비 0.05%p 하락한 것으로 잠정 집계됐다고 22일 밝혔다.
6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은 2조원으로 전월 대비 1천억원 감소했다. 연채채권 정리규모는 3조1천억원으로 전월 대비 1조8천억원 증가했다.
6월 중 신규연체율(6월 중 신규연체 발생액/5월말 대출잔액)은 0.09%로 전월(0.10%) 대비 0.01%p 하락했다. 금감원은 은행이 분기 말에 연체채권 관리를 강화함에 따라, 연체율이 통상적으로 분기 중 상승했다 분기 말에 하락하는 경향을 보인다고 설명했다.
부문별로 기업대출과 가계대출 연체율 모두 하락했다.
6월 말 현재 기업대출 연체율은 0.37%로 전월 말(0.43%) 대비 0.06%p 하락했다. 세부적으로 대기업대출 연체율이 0.11%로 전월 말(0.12%) 대비 0.01%p 하락했다. 중소기업대출 연체율은 0.43%로 전월 말(0.51%) 대비 0.08%p 하락했다.
이 중 중소법인 연체율은 0.45%로 전월 말 대비 0.10%p 낮아졌고, 개인사업자대출 연체율은 0.41%로 전월 말(0.45%) 대비 0.04%p 낮아졌다.
가계대출 연체율은 0.33%로 전월 말(0.37%) 대비 0.04%p 하락했다. 주택담보대출 연체율은 0.22%로 전월 말(0.23%) 대비 0.01%p 하락했고, 주담대를 제외한 가계대출(신용대출 등)의 연체율은 0.62%로 전월 말(0.75%) 대비 0.13%p 하락했다.
금감원은 올 상반기 중 국내은행의 연체율이 상승 추세를 보였으나, 2분기(전 분기 比 +0.02%p)는 연체정리 확대 등으로 1분기(전 분기 比 +0.08%p ) 대비 분기 중 상승 폭이 축소되면서 코로나19 이전(2019년 12월 말 0.36%) 및 2010~2019년 월평균(0.78%) 대비 안정적인 수준을 유지 중이라고 설명했다.
단, 글로벌 경기둔화 및 통화 긴축 지속 등으로 현재의 연체율 상승 추세가 이어질 가능성에 대비해 금감원은 월별 연체율 추이를 면밀히 모니터링하고, 적극적인 연체·부실채권 정리 등을 통해 건전성 개선을 꾸준히 지도한다는 방침이다.
또, 대손충당금 적립 확대 등 은행의 손실흡수능력 확충 또한 지속적으로 유도할 계획이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