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대표는 17일 "윤석열 정권이 결국 일본의 하수인이 되는 길을 선택했다"며 "어제 한일정상회담은 우리 외교사에서 가장 부끄럽고 참담한 순간이었다"고 비판했다.
그러면서 "최대 현안인 강제동원 문제에 대해서는 일본의 사죄나 반성은 전무했다"며 "일본에 조공을 바치고 화해를 간청하는, 그야말로 항복식 같은 참담한 모습이었다"고 평가했다.
더불어민주당 이재명 대표는 이날(금) 오전 9시 국회 본청 당대표 회의실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오므라이스 한 그릇에 국가의 자존심과 피해자의 인권, 역사의 정의, 전부를 다 맞바꾼 것이다'라는 우리 국민들의 한탄 소리가 틀려 보이지 않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표는 "'영업사원이 결국 나라를 판 것 아니냐'라는 그런 지적조차도 전혀 틀린 지적 같지는 않다"며 비판의 수위를 높였다.
특히 이 대표는 "정부 배상안을 피해자가 공식 거부했고 국민도 반대하고 있다"며 "그런데 대통령은 ‘구상권 청구는 없을 것이다’라고 일본 눈치만 살폈다"고 비판했다. 이어 "대통령의 임기는 5년이고, 5년 이후에 국가 정책의 최고결정권자는 다른 사람이 된다"며 "그런데 그때 이 문제에 대한 확답을 누가 지금 할 수 있겠느냐"고 말했다.
이 대표는 "일본의 군사대국화, 평화헌법 무력화 시도까지 용인하겠다는 태도에는 아연실색했다"며 "이쯤 되면 이 정권의 친일 논쟁을 넘어서서 숭일 논쟁이 벌어질 지경이 됐다"고 비판수위를 높였다.
이 대표는 또한 "주당 69시간의 과로사 강요 정책에 대한 국민들의 분노가 크다"며 "국민들의 삶은 물론 핵심적인 국가 정책이라고 할 수 있는 노동시간을 두고 ‘69시간 던졌다가, 안 되면 64시간 던졌다가, 또 안 되면 60시간 이하’ 이런 식으로 마치 5일장에서 물건값 흥정하듯이 국가 정책을 가지고 이런 식으로 운영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와 함께 "노동시간 개편 논의 전에 우리의 노동 현실부터 되돌아봐야 한다"며 "지금도 여전히 대한민국은 OECD 평균보다 200시간, 많게는 300시간 가까이 더 일하는 과로사회"라고 지적했다.
이 대표는 "젊은이들까지 일하다 과로로 죽고 있다"며 "이런 상황에서 ‘주당 60시간까지는 괜찮다’ 이런 대통령의 인식에 도저히 공감하기 어렵다"고 비판했다.
이어 "과거로 퇴행하는 노동시간 연장, 과로사회로의 퇴행이 아니라 이제 OECD 평균 정도라도 맞추는 미래 사회로 가야 한다"며 "노동시간 단축을 위한 노력을 더욱 더 확대해야 하고, 주 5일째를 넘어서서 주 4.5일제 근무로 가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