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경련 '자영업자 2022년 실적 및 2023년 전망 설문조사' 발표
코로나19 거리두기 해제에도 올해 자영업 매출 10% 이상 줄어들 것으로 조사됐고, 내년에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어 자영업자들의 시름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인다.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시장조사 전문기관인 모노리서치에 의뢰해 음식점업, 숙박업, 도·소매업, 기타서비스업 등 자영업자 500명을 대상으로 '자영업자 2022년 실적 및 2023년 전망 설문조사'에서 자영업자의 상당수는 최근의 경기침체가 내년까지 이어질 것이라고 12일 밝혔다.
설문 조사에 따르면 올해 매출과 순익 실적에 대한 질문에, 자영업자의 68.6%는 올해 매출이 작년에 비해 감소했다고 답변했다. 올해 순익이 작년 대비 감소했다는 응답은 69.6%로 나타났다. 평균적으로 올해 매출은 전년 대비 12.5% 감소, 순익은 12.4%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자영업자의 절반 이상이 내년 매출과 순익이 올해에 비해 감소할 것으로 전망했다. 내년도 매출 전망에 대해 올해 대비 감소할 것이라는 응답이 53.2%로 나타났으며, 내년 순익 전망은 응답자의 54.0%가 올해 대비 감소할 것이라고 답했다. 평균적으로 내년 매출과 순익은 올해 대비 각각 3.1%, 3.8% 줄어들 것으로 내다봤다.
경영실적에 가장 큰 영향을 끼치는 비용증가 요인은 원자재·재료비(22.8%), 인건비(21.5%), 임차료(20.0%), 대출상환 원리금(14.0%) 순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자금사정을 살펴보면, 조사대상 자영업자들의 평균 대출금액은 약 9천97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대출규모가 1억원 미만이라는 답변이 대부분(72%)이었고, 1억 5천만 원 이상 대출을 했다는 응답도 약 16%에 달했다.
또한 현재 부담하고 있는 평균 이자율 수준은 5.9%로 작년보다 약 2%p 상승했다. 한편 응답자 다섯 중 하나(21%)는 8% 이상의 고금리 대출을 받은 것으로 나타나 현재 진행되고 있는 금리 인상 기조가 이어진다면 자영업자들의 대출상환 부담은 계속해서 커질 것으로 보인다.
한편 경기회복 시기에 대해 조사대상 자영업자들의 약 60%가 내후년인 2024년 이후라고 답변했다.(2024년 상반기 22.8%, 2024년 하반기 14.2%, 2025년 이후 22.2%) 내년 하반기 내로 경기가 살아날 것이라고 비교적 낙관적으로 답변한 비율은 40.8%였다.(2023년 상반기 9.4%, 2024년 하반기 31.4%)
한편, 자영업자의 약 40%가 향후 3년 내에 폐업을 고려하고 있다고 응답했다. 폐업을 고려하게 된 주요 이유로는 영업실적 지속 악화(26.4%), 경기회복 전망 불투명(16.1%), 자금사정 악화 및 대출상환 부담(15.1%) 등이 있었다.
마지막으로 내년 예상되는 경영 애로사항을 묻는 질문에는 임차료 상승 및 각종 세금 부담(23.1%), 고금리 지속, 만기도래 등 대출상환 부담(21.2%), 수입물가 상승으로 인한 원재료 매입비 부담(19.7%) 순으로 답변했다.
또한 자영업자를 위한 정부의 지원 정책으로는 저금리 대출 등 자금지원 확대(20.9%), 소비심리 회복을 위한 소비 촉진 지원(17.8%), 전기, 가스요금 등 공공요금 인상 억제(13.3%) 등이 필요하다고 응답했다.
유환익 전경련 산업본부장은 “한국의 자영업자 비중은 약 25%로 OECD 국가 중 가장 높은 수준”이라며, “자영업자의 어려움이 장기화되면 결국 서민경제 전체가 휘청일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최소 내년까지는 전쟁 등으로 인해 경제위기 여파가 이어질 것으로 전망되는 만큼, 이 힘든 고비를 넘길 수 있도록 자영업자들에 대한 세밀한 정책적 지원이 당분간 지속되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은 전국 음식점업, 도소매업 등 영위 자영업자(응답자 500명)를 대상으로 11월21일 ∼ 12월5일 간 모노리서치가 조사했다.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한 온라인 패널조사로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최대허용 표본오차 ± 4.38%p이다.[파이낸셜신문=임권택 기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