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물 지붕 전체에 태양광 패널 설치, 자동화 기술 적용해 첨단 물류 거점으로 변신 예정
현대모비스가 전기차 수요 증가 등 미래자동차 환경 변화에 대응해 고객 서비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 국내에 통합물류센터를 새로 구축한다.
신축 물류센터는 국내 차량용 A/S 부품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공급하는 것은 물론, 친환경 시스템과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첨단 물류 거점으로 준공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10일 경주시청에서'영남권 통합물류센터 신설 투자 양해각서(MOU)체결식'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현대모비스는 통합물류센터 관련 구체적인 투자 계획을 설명하고, 경상북도와 경주시는 투자 계획이 원활하게 추진될 수 있도록 인허가 절차 등 행정 지원을 약속했다.
현대모비스 조성환 사장은 이날 인사말을 통해 "이번 통합물류센터 신축 투자는 현대차와 기아를 이용하는 국내 고객들에게 A/S 부품을 신속, 정확하게 책임 공급하기 위한 것"이라며 "전동화 등 미래차 트렌트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해 고객 서비스를 더욱 강화하겠다"고 말했다.
경북 경주시 명계3산업단지에 들어설 통합물류센터는 경주 외동과 냉천, 경산 등 기존 영남지역 3개 거점을 통합한 대형 물류 거점으로 재탄생할 예정이다. 내년 초 착공에 들어가 오는 2024년 말에 본격 운영될 계획이다. 총 투자비는 948억원 규모다.
현대모비스는 영남 통합물류센터 구축으로 국내 약 1천760만대의 현대차-기아 고객에게 A/S 부품을 더욱 원활하게 공급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대모비스는 특히 하이브리드카와 전기차 등 친환경차 수요 확대에 대응해 통합물류센터 내에 친환경차 부품 전용 부지도 마련할 예정이다.
통합물류센터는 또 친환경 발전 시스템과 자동화 기술을 적용한 첨단 사업장으로 거듭날 예정이다.
우선 현대모비스는 건물 지붕 전체에 태양광 발전 시스템을 설치할 계획이다. 더불어 통합물류센터 내에서 중소형 제품을 운반하는 로봇(AMR; Autonomous Mobile Robot)을 활용할 예정이다.
현대모비스는 이 같은 친환경, 자동화 기술의 적용 범위를 국내 뿐 아니라 전세계 물류 거점으로 넓혀 나갈 계획이다. 현대모비스는 해외에서도 미주, 유럽, 중국 등 권역별로 총 59개의 대단위 물류 거점을 운영하고 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