모바일 항공권과 모바일 운전면허를 결합한 '스마트탑승권' 서비스도 개발 중
사용처 지속 확대해 전국 어디서나 PASS앱으로 신분증 대체할 수 있는 환경 만들 것
앞으로 공항을 이용할 때 신분증을 집에 두고 와도 스마트폰 만 있으면 신분을 증명하고 항공기 탑승도 가능하게 된다.
SK텔레콤, KT, LG유플러스 등 통신3사는 국내 디지털 공인 신분증인 'PASS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PASS 모바일 운전면허증)'를 전국 공항에서 활용할 수 있다고 22일 밝혔다.
통신3사와 한국공항공사는 이날부터 전국 공항 국내선 탑승 수속 시 생체인증 등록을 위한 신분증 대체 수단으로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제공한다. 공항에서 모바일 신분증이 전산으로 인증되는 형태로 도입되는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한국공항공사는 국내선 항공기 탑승수속 시 신분증 미소지로 인한 승객불편을 해소하고자 지난 2018년부터 바이오인증 One ID 신분확인 서비스를 운영 중이다.
기존에는 최초 등록 시 주민등록증·운전면허증 등 신분증이 필요했으나, 이번 통신3사와의 협력으로 One ID 등록 시 신분증 대신 'PASS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를 사용할 수 있게 된 것이다.
또한, 통신3사와 한국공항공사는 다수 항공사와 함께 'PASS 모바일 운전면허 확인서비스'의 적용 다음 단계로 모바일 항공권과 모바일 운전면허를 결합한 '스마트탑승권' 서비스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스마트탑승권'은 공항 게이트 출입은 물론, 면세점·무인자판기 등 공항 내 서비스 전반에 적용을 목표로 준비 중이다.
통신3사는 이번 'PASS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의 전국 공항 적용을 발판으로 향후에도 지속적으로 사용처를 확대, 전국 어디에서나 PASS 앱을 신분증으로 사용할 수 있는 환경을 마련해 고객의 편의성 강화에 집중할 예정이다
또한, 올해 상반기 중 'PASS모바일운전면허 확인서비스'의 보안 강화를 위한 고도화를 준비하는 등 '모바일 신분증' 서비스 분야의 선도주자로서 안전하고 편리한 사용 문화 형성 노력을 지속할 계획이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