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5년간 도전(전기도둑)·위약으로 줄줄새는 전기요금 1167억…연말까지 1200억 예상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범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서구을)이 한국전력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도전(전기도둑) 및 전기위약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그 규모가 3만2599건, 금액으로는 1167억원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올 연말까지는 5년간 총 12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도전(전기도둑)은 무단으로 사용하는 전기로 건수는 4018건, 금액으로는 71.5억원으로 전체의 12.3%에 달했다.
위약규모가 제일 큰 유형(전체의 73.1%)은 ‘계약종별 위반’으로 2만3829건, 금액으로는 644억원이었다. ‘계약종별 위반’은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 값싼 농사용 등으로 신청하고 실제로는 주택용으로 몰래 사용하는 경우 등 이다.
박범계 의원은 “한전은 유가인상, 탈원전, 적자 등의 이유로 전기요금 인상을 얘기하기 전에 줄줄새는 전기요금부터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며 “한전은 AMI(지능형검침인프라) 사업을 핑계로 검침원 숫자를 줄이는 것보다 검침원을 활용해 줄줄새는 전기요금 단속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박범계 의원(더불어민주당/대전 서구을)이 한국전력으로부터 받은 최근 5년간 도전(전기도둑) 및 전기위약 현황 자료를 분석한 결과 2014년부터 2018년 9월까지 그 규모가 3만2599건, 금액으로는 1167억원에 달한 것으로 밝혀졌으며 올 연말까지는 5년간 총 1200억원에 달할 것으로 예상됐다.
▲ 최근 5년간 도전 및 전기위약 현황(단위: 건, 백만원) (자료: 한국전력, 박범계의원실 자료분석) |
도전(전기도둑)은 무단으로 사용하는 전기로 건수는 4018건, 금액으로는 71.5억원으로 전체의 12.3%에 달했다.
위약규모가 제일 큰 유형(전체의 73.1%)은 ‘계약종별 위반’으로 2만3829건, 금액으로는 644억원이었다. ‘계약종별 위반’은 전기요금을 줄이기 위해 값싼 농사용 등으로 신청하고 실제로는 주택용으로 몰래 사용하는 경우 등 이다.
박범계 의원은 “한전은 유가인상, 탈원전, 적자 등의 이유로 전기요금 인상을 얘기하기 전에 줄줄새는 전기요금부터 철저히 단속해야 한다”며 “한전은 AMI(지능형검침인프라) 사업을 핑계로 검침원 숫자를 줄이는 것보다 검침원을 활용해 줄줄새는 전기요금 단속에 보다 효과적으로 대응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강조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