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입직장인 40%, ‘직장스트레스가 구직스트레스보다 높아’
신입직장인 40%, ‘직장스트레스가 구직스트레스보다 높아’
  • 박기연 기자
  • 승인 2010.04.07 08:4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신입 직장인 10명 중 4명은 구직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보다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강도가 더 높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프리미엄 취업포털 커리어가 4월 3일부터 5일까지 입사 1년 미만 신입 직장인 542명을 대상으로 ‘직장스트레스와 구직스트레스 강도’를 조사한 결과, 40.2%가 ‘직장에서 받는 스트레스가 더 심하다’고 답했다. ‘둘 다 비슷하다’는 29.3%, ‘구직스트레스가 더 심하다’는 20.5% 이었다.

직장스트레스 강도가 더 심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복수응답)로는 52.8%가 ‘대인관계 유지나 조직생활에 적응해야 하는 어려움 때문에’를 꼽았다. 이어 ‘과중한 업무량 때문에’ 42.7%, ‘반복적인 생활로 인한 지루함·무기력증 때문에’ 40.4%, ‘이직하고 싶다는 생각 때문에’ 33.5% 순이었다. ‘이직이나 승진을 위해 자기계발을 해야 한다는 강박증 때문에’는 23.4%, ‘업무성과에 대한 압박감 때문에’는 18.8% 이었다.

‘직장에서 받은 스트레스로 인해 겪은 증상이 있는가’란 질문에는 81.7%가 ‘있다’고 답했으며 주요증상(복수응답)으로는 ‘소화불량’과 ‘두통’이 각각 59.0%, 52.8%로 가장 많았다. ‘우울증’ 38.2%, ‘무기력증’과 ‘홧병’은 각각 36.0%, ‘체중 증가’ 33.1%, ‘불면증’ 32.0%, ‘가슴떨림’은 24.7% 이었다. 이외에도 ‘탈모’ 14.0%, ‘대인기피증’ 11.2%, ‘거식증’ 2.8% 등이 있었다.

스트레스 해소방법(복수응답)은 ‘음주나 흡연으로 풀었다’가 48.2%로 1위를 차지했다. 뒤를이어 ‘친구와 만나 수다를 떨었다’ 36.2%, ‘잠을 잤다’ 31.2%, ‘폭식을 했다’ 29.4%, ‘영화감상 등 취미나 문화생활을 했다’ 20.6% 순이었다. ‘운동을 했다’는 19.3%, ‘쇼핑을 하며 풀었다’는 17.9% 이었다.

반면, 구직활동에서 받는 스트레스의 강도가 더 심하다고 생각하는 이유(복수응답)는 51.5%가 ‘경제적인 어려움 때문에’와 ‘자신을 무능력하게 볼 것 같은 주위에 시선 때문에’를 각각 꼽았다. ‘사회적 소속이 없다는 고립감 때문에’는 49.1%, ‘가족·지인들의 눈치 때문에’ 47.3%, ‘영원히 취업을 못할지도 모른다는 불안감 때문에’ 43.0%, ‘취업 공부에 대한 압박감 때문에’는 34.5% 이었다.

또한 응답자의 66.1%가 ‘구직스트레스로 인해 겪은 증상이 있다’고 답했으며, 가장 많이 겪은 증상(복수응답)은 ‘우울증’이 61.5%로 1위를 차지해 육체적 증상을 겪었다는 직장스트레스와 달리 심리적 증상이 많았다.

이어 ‘대인기피증’ 58.7%, ‘무기력증’ 56.0%, ‘소화불량’ 36.7%, ‘불면증’ 33.9%, ‘두통’ 28.4%, ‘체중 증가’ 25.7% 순이었다. 이외에도 ‘홧병’ 19.3%, ‘탈모’ 11.9%, ‘가슴떨림’ 8.3%, ‘거식증’ 5.5% 등이 있었다.

구직스트레스를 푸는 방법(복수응답)은 ‘잠을 잤다’가 50.3%로 가장 많았다. ‘음주나 흡연으로 풀었다’는 30.9%, ‘운동을 했다’ 22.4%, ‘폭식을 했다’ 17.0%, ‘영화감상 등 취미나 문화생활을 했다’ 15.8%, ‘친구와 만나 수다를 떨었다’ 15.2%, ‘쇼핑을 하며 풀었다’는 6.1% 이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