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J제일제당이 내수경기 침체 등에도 불구하고 주력 제품군의 판매가 좋았던 식품부문과 해외 매출이 큰 폭으로 늘어난 생물자원부문이 전사 매출 성장세를 견인하는 등 전 사업부문의 매출 증가에 힘입어 전년대비 12.2% 증가한 2조2,062억원의 매출을 달성했다고 지난 5일 밝혔다.
영업이익은 지난해 2분기 바이오사업 실적의 기고효과(High base effect)로 인해 0.4% 감소한 1,521억원을 기록했다.
식품부문 내 가공식품 사업의 해외 매출이 지난해에 비해 60% 이상 크게 늘어나고 생물자원부문의 해외 매출 비중이 역대 최고치였던 1분기(72%)를 넘어선 74%를 기록하는 등 1분기에 이어 2분기에도 글로벌 사업에서 의미 있는 성과가 있었다고 CJ제일제당은 설명했다.
바이오의 경우 최근 주력해 온 사료용 아미노산 포트폴리오 확대의 성과가 가시화됐다. 지난해부터 본격 생산된 L-메치오닌의 2분기 판매량이 전년 같은 기간에 비해 두 배 이상 늘어나는 등 고수익 신규 제품군의 비중이 그만큼 늘어났다. CJ제일데장은 아미노산 판가 하락 등 외부 악재로 인한 충격에도 흔들리지 않는 토대를 마련했다고 자체 평가했다.
회사의 주력 사업인 식품부문의 매출은 1조1,035억원으로 1년 전보다 11.1% 증가하며 두 자리 수 성장률을 유지했다.
특히, 햇반 등 쌀가공식품과 비비고 등 냉동제품군의 매출이 크게 늘었으며 햇반 컵반과 비비고 국·탕·찌개 등 간편식(HMR) 신제품의 판매 실적이 좋았다.
영업이익은 신제품 육성을 위한 투자 증가에도 불구하고 지난해보다 6.3% 증가한 844억원을 나타냈다.
바이오부문 매출은 주요 제품의 판가가 하락했음에도 불구하고 작년보다 5.1% 확대된 4,558억원을 기록했다. 지난해와 비교해 라이신 실판가는 약 8% 가량 하락했지만 지난해 초부터 본격 생산된 L-메치오닌이 시장에서 빠르게 자리 잡으며 사업 포트폴리오가 다변화돼 이를 발판으로 성장세를 유지했다는 설명이다.
영업이익은 298억원으로 아미노산 제품 판가가 상대적으로 높았던 지난해에 비해서는 37.5% 감소했다. 다만, 올해 2분기부터 라이신을 비롯한 주요 아미노산 제품의 판가가 회복세로 접어들며 1분기 영업이익과 비슷한 수준을 유지했다.
전체 매출의 약 74%가 해외에서 발생하고 있는 생물자원부문의 매출액은 5,214억원으로 전체 사업부문중 가장 높은 22.1%의 성장률을 기록했다.
주력 시장인 인도네시아와 베트남에서의 신규 거래처 확보 등으로 해외 매출이 전년동기대비 34% 늘어났기 때문이다.
영업이익 역시 지난해에 비해 58.8% 늘어나며 수익성도 크게 개선되는 모습을 보였다.
CJ제일제당은 장기화되고 있는 내수 경기 침체에 대응하기 위해 사업구조 강화와 혁신을 통한 수익성 제고에 주력할 방침이다.
식품부문에서는 가정간편식(HMR) 등 가공식품 및 차세대 감미료, 화장품 원료 등의 가공소재 신제품 등 시장 트렌드를 반영한 제품군으로 새로운 성장 동력을 확보하고, 미국과 중국 식품 시장에서의 본격 성장과 동남아 신규 시장 공략을 통해 상승 곡선을 타고 있는 글로벌 식품 매출 성장에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또한 바이오 사업의 제품 포트폴리오 확대를 지속해 수익성을 높이고, 생물자원의 해외 사업 경쟁력도 강화한다.
CJ제일제당 관계자는 “전 사업부문의 R&D 역량이 집중된 통합연구시설을 기반으로 축적된 사업별 성장성과 수익성을 통해 R&D 경쟁력을 더욱 강화해 글로벌 시장에서 통하는 혁신 기술, 혁신 제품 개발을 지속할 것”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