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합재정수지 7조원, 관리재정수지 8조 적자폭 개선
올해 2월까지 국세수입이 1년 전보다 10조9,000억원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기활성화를 위해 재정조기집행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세입이 늘면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통합재정지수와 관리재정지수는 적자폭이 각각 7조원, 8조4,000억원 개선됐다.
기획재정부는 12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4월호’를 통해 올해 1~2월 누계 국세수입은 42조7,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조9,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1년 세입 목표 대비 실제 세입을 나타내는 진도율은 올해 2월까지 19.1%를 보여 작년보다 4.4%p 빠르게 세수가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소비실적이 개선되고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환급금도 함께 줄어들어 부가가치세가 4조8,000억원 더 걷힌 13조6,000억원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또한 부동산 거래가 늘었고, 취업자 수와 명목임금 상승으로 소득세가 2조8,000억원 증가한 13조9,000억원을 기록한 것도 세입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밖에 개별소비세, 증권거래세 등 기타 세수는 1조4,000억원 늘어난 7조2,000억원이었다.
국가 수입을 모두 합친 총 수입은 65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3%p 빠른 16.8%의 진도율을 보였다.
총지출은 68조원으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2조1,000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나라의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관리재정수지는 5조7,00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기재부는 부가세, 소득세 등 세수 개선에 따른 총수입 증가폭이 경기활력 제고를 위한 총지출 증가분을 상회했으나 세수가 빠르게 걷히면서 작년보다 통합재정수지는 7조원, 관리재정수지는 8조4,000억원 적자폭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나라의 빚인 국가채무는 2월 말 기준 576조6,000억원으로 작년보다 20조원 증가했다. 이는 국고채는 매달 발행되는데 비해 상환은 3월, 6월 9월 12월 등 연중 4회만 이뤄지기 때문에 상환이 없는 달에는 국가채무가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고 기재부는 부연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기활력제고를 위한 재정조기집행 등 재정의 경기대응역할 강화에 따라 재정수지적자를 시현했지만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큰 폭으로 개선됐다”며 “세수실적도 긍정적 추세이나 내수 부진, 중국 경기 둔화, 유가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하방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경기활성화를 위해 재정조기집행에 집중하고 있는 가운데서도 세입이 늘면서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했을 때 통합재정지수와 관리재정지수는 적자폭이 각각 7조원, 8조4,000억원 개선됐다.
기획재정부는 12일 발간한 ‘월간 재정동향 4월호’를 통해 올해 1~2월 누계 국세수입은 42조7,000억원으로 전년동기대비 10조9,000억원 증가했다고 밝혔다.
1년 세입 목표 대비 실제 세입을 나타내는 진도율은 올해 2월까지 19.1%를 보여 작년보다 4.4%p 빠르게 세수가 걷힌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지난해 4분기 소비실적이 개선되고 수출이 감소함에 따라 환급금도 함께 줄어들어 부가가치세가 4조8,000억원 더 걷힌 13조6,000억원을 나타냈기 때문이다.
또한 부동산 거래가 늘었고, 취업자 수와 명목임금 상승으로 소득세가 2조8,000억원 증가한 13조9,000억원을 기록한 것도 세입 증가에 영향을 미쳤다.
이밖에 개별소비세, 증권거래세 등 기타 세수는 1조4,000억원 늘어난 7조2,000억원이었다.
국가 수입을 모두 합친 총 수입은 65조9,000억원으로 1년 전보다 2.3%p 빠른 16.8%의 진도율을 보였다.
|
총지출은 68조원으로 총수입에서 총지출을 뺀 통합재정수지는 2조1,000억원 적자를 기록했고, 나라의 살림살이를 보여주는 대표적인 지표인 관리재정수지는 5조7,000억원 적자를 나타냈다.
기재부는 부가세, 소득세 등 세수 개선에 따른 총수입 증가폭이 경기활력 제고를 위한 총지출 증가분을 상회했으나 세수가 빠르게 걷히면서 작년보다 통합재정수지는 7조원, 관리재정수지는 8조4,000억원 적자폭이 개선됐다고 설명했다.
나라의 빚인 국가채무는 2월 말 기준 576조6,000억원으로 작년보다 20조원 증가했다. 이는 국고채는 매달 발행되는데 비해 상환은 3월, 6월 9월 12월 등 연중 4회만 이뤄지기 때문에 상환이 없는 달에는 국가채무가 다소 높게 나타나는 경향을 보인다고 기재부는 부연했다.
기재부 관계자는 “경기활력제고를 위한 재정조기집행 등 재정의 경기대응역할 강화에 따라 재정수지적자를 시현했지만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큰 폭으로 개선됐다”며 “세수실적도 긍정적 추세이나 내수 부진, 중국 경기 둔화, 유가 불안 등 대내외 불확실성이 하방 요인으로 상존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