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년새 결함신고 2.7배 늘고 리콜은 3.2배 ↑
최근 4년 사이 자동차 제작결함 신고가 2.7배로 늘어났고 리콜도 3.2배 급증했다.
4일 교통안전공단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접수된 결함 신고는 2만3552건, 월평균 352건에 달했다.
결함신고는 2010년 1850건, 2011년 3803건, 2012년 4278건, 2013년 6168건, 2014년 4999건으로 해마다 늘어 4년 만 2.7배로 뛰었다.
올해도 1∼7월동안 245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자동차 제작결함신고 유형별 접수 현황
출처:교통안전공단
신고를 유형별로 보면 엔진 결함이 6184건으로 가장 많았고 프레임, 바디 등 차대차체가 3797건, 변속기 등 동력전달이 3095건이었다.
에어백과 안전벨트 등 승차실내는 2126건이었으며 연료장치 1447건, 제동장치 1432건, 조향장치 1201건순이었다.
제작사별 신고 건수 순위는 판매량 순위와 비슷했다.현대자동차가 7116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아차 5040건, 한국GM 4132건, 르노삼성 2689건, 쌍용 1867건으로 국산차에 대한 신고가 2만1091건으로 전체의 89.6%를 차지했다.
수입차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517건으로 가장 많았고 BMW 코리아 398건,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181건, 크라이슬러 코리아(현 FCA 코리아) 172건, 한국토요타 96건 순이다.
결함신고가 증가와 나란히 리콜되는 차종 수와 대수도 늘고 있다.
안전결함으로 리콜된 차량은 2010년 27만905대(137종)에서 2012년 20만 6248대(196종)로 줄었다가 2013년 103만 7151대(195종), 2014년 86만 9808대(432종)로 4년새 3.2배로 급증했다.
올해는 8월까지 지난해 전체 리콜 대수와 맞먹는 86만 407대(275종)가 리콜됐다.
4일 교통안전공단이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새누리당 김태원 의원에게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2010년부터 올해 7월까지 접수된 결함 신고는 2만3552건, 월평균 352건에 달했다.
결함신고는 2010년 1850건, 2011년 3803건, 2012년 4278건, 2013년 6168건, 2014년 4999건으로 해마다 늘어 4년 만 2.7배로 뛰었다.
올해도 1∼7월동안 2454건의 신고가 접수됐다.
자동차 제작결함신고 유형별 접수 현황
결함 장치 년도 |
조 향 장 치 |
현 가 장 치 |
주 행 장 치 |
제 동 장 치 |
주 차 제 동 |
엔 진 |
배 기 장 치 |
연 료 장 치 |
동 력 전 달 |
전 기 장 치 |
등 화 장 치 |
시 계 확 보 |
냉 / 난 방 |
승 차 실 내 |
차 대 차 체 |
기 타 장 치 |
부품 |
합계 |
2010년 |
143 |
19 |
29 |
156 |
1 |
471 |
35 |
63 |
450 |
42 |
61 |
32 |
115 |
79 |
156 |
44 |
0 |
1,896 |
2011년 |
250 |
110 |
64 |
257 |
7 |
1,011 |
27 |
552 |
554 |
50 |
51 |
71 |
36 |
557 |
474 |
57 |
0 |
4,128 |
2012년 |
214 |
154 |
80 |
369 |
12 |
1,548 |
109 |
360 |
459 |
86 |
87 |
62 |
70 |
385 |
713 |
120 |
0 |
4,828 |
2013년 |
313 |
123 |
143 |
363 |
14 |
1,882 |
46 |
314 |
819 |
96 |
43 |
214 |
82 |
807 |
1,550 |
82 |
73 |
6,964 |
2014년 |
281 |
193 |
232 |
287 |
13 |
1,272 |
159 |
158 |
813 |
47 |
64 |
301 |
75 |
298 |
904 |
135 |
7 |
5,239 |
2015.7 |
205 |
34 |
86 |
119 |
6 |
835 |
53 |
178 |
274 |
30 |
41 |
122 |
41 |
168 |
398 |
40 |
0 |
2,630 |
합계 |
1,201 |
599 |
548 |
1,432 |
47 |
6,184 |
376 |
1,447 |
3,095 |
321 |
306 |
680 |
378 |
2,126 |
3,797 |
438 |
80 |
23,055 |
출처:교통안전공단
신고를 유형별로 보면 엔진 결함이 6184건으로 가장 많았고 프레임, 바디 등 차대차체가 3797건, 변속기 등 동력전달이 3095건이었다.
에어백과 안전벨트 등 승차실내는 2126건이었으며 연료장치 1447건, 제동장치 1432건, 조향장치 1201건순이었다.
제작사별 신고 건수 순위는 판매량 순위와 비슷했다.현대자동차가 7116건으로 가장 많았고 기아차 5040건, 한국GM 4132건, 르노삼성 2689건, 쌍용 1867건으로 국산차에 대한 신고가 2만1091건으로 전체의 89.6%를 차지했다.
수입차는 아우디폭스바겐코리아가 517건으로 가장 많았고 BMW 코리아 398건, 메르세데스-벤츠 코리아 181건, 크라이슬러 코리아(현 FCA 코리아) 172건, 한국토요타 96건 순이다.
결함신고가 증가와 나란히 리콜되는 차종 수와 대수도 늘고 있다.
안전결함으로 리콜된 차량은 2010년 27만905대(137종)에서 2012년 20만 6248대(196종)로 줄었다가 2013년 103만 7151대(195종), 2014년 86만 9808대(432종)로 4년새 3.2배로 급증했다.
올해는 8월까지 지난해 전체 리콜 대수와 맞먹는 86만 407대(275종)가 리콜됐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