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선랜 기술기준 개정...관련 칩셋 시장도 활성화
|
미래부는 3일 근거리에서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한 차세대 무선설비규칙을 개정고시했다고 밝혔다.
즉 그동안은 공기 중의 신호 감쇄가 극심한 60㎓대역은 전파 특성상 이용이 활성화 되지 못했던 상황을 감안해 60㎓ 초고주파 대역(57~64㎓)에서 풀고화질(HD)급 영화 한편을 1~2초에 다운로드 받을 수 있는 차세대 무선랜 기술의 적용한 WiGig(Wireless Gigabit, 이하 와이기그) 제품이 국내에서 출시 가능하도록 했다.
미래부는 지난 2012년 60㎓대역 무선랜 표준 개발이 완료된 이후 삼성, 인텔 등 글로벌 제조사들은 올 하반기 출시를 목표로 10m 내외의 근거리에서 무압축 고화질(HD) 영상 전송 등 7Gbps급 초고속 통신을 지원하는 칩셋 개발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특히 와이기그 칩셋이 텔레비전, 컴퓨터, 스마트폰, 카메라, 프로젝터 등에 탑재될 경우 무압축 초고화질(UHD, 3840×2160급 해상도) 영상을 무선으로 받아 끊김 없이 부드럽게 디스플레이 할 수 있어 초고속 네트워크 뿐만 아니라 가상현실 게임, 무선 프로젝터 회의장 구축 등에 활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산업계 관계자는 “와이기그 칩셋이 탑재된 노트북, 휴대폰 등 다양한 제품이 올해 안으로 출시될 예정이며, 시장 조사 전문기관 에이비아이(ABI) 리서치는 전 세계 와이기그 칩셋 시장이 연평균 157%의 높은 성장을 지속하는 등 2019년에는 출하량이 약 1억대 규모에 이를 것으로 예측된다”고 말했다.
미래부 주파수정책과장은“이번 기술기준 개정은 근거리에서 초고속 대용량 데이터 전송이 가능해져 사무기기 간 선 연결이 필요 없게 되며, 스마트 오피스, 고화질 홈시어터, 수 기가급 홈 네트워크 구축 등 다양한 융합 산업이 활성화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기존 2.4㎓ 및 5㎓ 와이파이(Wi-Fi) 시장은 브로드컴, 인텔 등 해외 글로벌 업체가 주도했으나, 60㎓ 와이기그 시장은 국내기업이 초기단계부터 시장진입을 준비하고 있었으므로 무선데이터통신 제품시장에서 국내 기업의 경쟁력 확보하에 기여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WiGig는 국제전기전자학회(IEEE)가 개발한 60㎓ 무선랜 표준(802.11ad)의 인증 브랜드로, 이론상 최대 전송속도는 기존 2.4㎓ WiFi의 10배, 5㎓ WiFi의 2배인 7Gbps 수준이며, 이는 풀고화질(HD)급 영화 한편(4~10㎇)을 1~2초면 다운로드가 가능한 속도이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