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평균 전망치 2.2%…한국은행 2.2% 보다 낮아
|
해외 경제예측기관 가운데 3분의1은 한국의 소비자물가상승률이 내년에도 1%대를 기록할 것으로 전망했다.
11일 블룸버그와 국제금융센터에 따르면 지난달 이후 26개 해외 투자은행(IB)과 경제예측기관이 내놓은 한국의 내년 소비자물가상승률 전망치는 평균 2.2%로 나타났다. 이는 한국은행의 전망치인 2.4%보다 다소 낮은 것이다.
이들은 지난 9월 말까지만 해도 연간 2.4%의 물가상승률을 예상했지만 한 달여만에 전망치가 0.2%포인트 낮아졌다.
전망치를 내놓은 기관 가운데 34.6%(9곳)는 내년 물가상승률이 1%대를 벗어나지 못할 것으로 예상했다.
한편, 한은이 올해 소비자물가상승률을 1.4%로 전망한 가운데, 내년에도 1%대 저물가가 3년 연속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이처럼 유례없는 저물가 행진은 국제유가 하락, 국내 경기 둔화에 따른 수요 부진, 임금상승률 둔화 등에 따른 것으로 풀이되고 있다.
내년 물가상승률을 가장 낮게 본 곳은 IHS 이코노믹스로, 올해 전망치(1.3%)보다 더 낮은 0.8%를 내놓았다.
BNP파리바도 올해 11∼12월 물가가 작년 같은 기간과 비교해 0.5% 상승하는 그치고, 국내총생산(GDP)과 잠재GDP 사이 격차를 보여주는 생산갭이 2016년까지는 플러스로 돌아서기 어려울 것으로 보고, 내년 소비자물가가 전망치를 1.9%에서 1.3%로 하향 조정했다.
ING그룹과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1.5%, 도이치방크는 1.7%의 상승률을 전망했으며, 다이와캐피털마켓, 씨티그룹, 바클레이즈 1.9%를 예상했으며, 국내 기관으로는 삼성증권(1.5%)과 현대경제연구원(1.9%)이 내년 물가상승률을 1%대로 전망했다.
한편, 최근 타결된 한국과 중국의 자유무역협정(FTA)이 값싼 중국산 농수축산물의 유입을 더욱 확대시키면서 물가 상승률을 더욱 끌어내릴 것으로 예상하는 분석도 이어지고 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