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조 “회사 제시안, 일고의 가치 없어” 맞대응
|
현대차는 올해 임단협 최대쟁점으로 떠오른 통상임금에 대해 교섭 대상이 아니라면서 법원의 판결을 따르겠다는 강경 입장을 고수했다. 이에 노조는 임금성 외에 회사의 제시안은 일고의 가치도 없다면서 맞대응 할 것임을 분명히 드러냈다.
26일 현대차에 따르면 윤갑한 현대차 사장은 25일 열린 노조와의 임금 교섭 과정에서 노조의 요구사항인 상여금의 통상임금 확대적 용건은 교섭이 아니라 현재 진행 중인 재판 결과에 따라야 한다고 밝혔다. 회사 측은 통상임금과 관련해서 법원의 판단을 받은 뒤 그 결정에 따르자는 당초의 입장을 고수했다.
현대차 노조는 통상임금과 관련해서 법 판결 이전에 노사합의로 적용해 줄 것을 요구하고 있다. 소 제기일 이후 퇴직자와 신입 모두 동일하게 적용해야 하고, 통상임금 적용을 전제로 세부적인 사항에 대해 논의가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현대차 입장은 법원 판결을 따르고, 임금체계 개선을 위해 분과위를 통한 논의를 진행하겠다는 방침이다.
윤 사장은 “통상임금 문제는 전 노조집행부 때부터 나온 사안으로 이미 이전 집행부와 대표소송에 따르기로 합의했다”면서도, “새 노조집행부가 재협상 요구안을 제시해 아쉽다”고 노조 변화에 아쉬움을 나타냈다.
이러한 현대차 입장은 윤 사장이 25일 낸 통상임금 관련 담화문에서도 입장변화가 없음을 고스란히 드러냈다.
윤 사장은 “통상임금은 법적인 문제이자 기업 생존이 걸린 비용의 문제이며 국가 산업 전체가 붕괴될 수 있는 사회적 문제”라면서, “현대차가 법적 명분조차 없는 통상임금 확대를 받아들이면 우리 회사의 결과를 따르는 기업은 인건비 급증으로 무너질 수밖에 없다”고 강조했다. 또한 통상임금으로 인해 심각한 사회양극화 논란으로 이어질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조 측은 “회사 측이 제시한 안은 일고의 가치가 없다”면서, “26일 협상에서 보다 전향적인 안을 제시할 것”을 요구했다. 다만, 26일 오후 3시부터 18차 단체교섭이 진행될 것으로 알려져, 이번 교섭에서 입장차가 좁혀질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다만 노·사간의 강경 입장을 확인했음에도 양측은 논의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대차 관계자는 “현재 통상임금과 관련해 양측의 입장을 서로 확인했지만 양측 실무진끼리 논의를 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는 평행선을 달리는 노·사 양측의 입장은 모두 강경하지만 판 자체를 깨지는 않겠다는 것으로 풀이된다.
한편, 통상임금 확대적용 등을 요구하며 지난 22일부터 부분파업을 벌인 현대차 노조는 26일 회사 측과의 협상 후 쟁의대책위원회를 열어 추가 파업 여부를 결정하기로 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