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업계, 회사채 발행 양극화 '심화'
건설업계, 회사채 발행 양극화 '심화'
  • 김상호 기자
  • 승인 2013.02.05 11:1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투자수요 위축…중견중소기업 신용대란 우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44조원의 회사채 중 A등급 이하가 절반을 넘어 시장에 우려를 주고 있다.(자료사진)

24조 회사채 만기 도래…국내경기 회복세 불투명

최근 채권시장의 전반적인 호황 속에서도 BBB등급 이하 시장 경색이 지속되고, A등급 시장에서도 회사채 간 금리차가 5.0%포인트를 넘어서는 등 양극화 현상이 관찰되고 있다.

A등급 시장의 전반적인 여건은 양호하나 조선ㆍ건설ㆍ해운업종 등 한계기업에 대한 신용등급이 조정되지 않고 LIG건설 사태 등으로 우량계열사의 비우량계열사 지원 여부에 대한 불확실성이 높아짐에 따라 양극화 현상이 심화된 것으로 풀이된다.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44조원의 회사채 중 A등급 이하가 절반을 넘어 시장에 우려를 주고 있다.

특히 국내 건설업종의 불황으로 A등급 이하 건설업체의 차환 부담이 커질 것이라는 전망이 제기되고 있다.

업계에 따르면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규모는 44조100억원으로 전년(43조3000억원)대비 소폭 증가했다.

이 가운데 신용등급 A 이하의 회사채가 55%(24조2000억원)에 달해 이들 기업의 자금조달 여부에 따라 시장의 명암이 엇갈릴 것으로 보인다.특히 지난해 9월 신용등급 A-인 웅진홀딩스의 법정관리 신청 이후 A등급 이하 회사채에 대한 수요가 크게 위축됐다.

신용등급이 낮은 기업은 회사채를 발행해도 인수해 줄 증권사가 없는 셈이다.

경기 회복에 대한 시장의 확신도 없고 저금리 기조에 따라 이미 선제적으로 회사채를 발행한 기업들이 많기 때문이다.

이렇다 보니 시장에서는 불황을 겪고 있는 건설업체들이 제대로 회사채를 상환할 수 있을 지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A등급 이하 회사채 중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건설업체는 24.4%인 4조4100억원이다.

회사별로는 대우건설(5000억원), 롯데건설(6300억원), 한화건설(4000억원), 현대산업개발(4500억원), 두산건설(7050억원), 동부건설(2800억원)이다.

해운업도 올해 1조9800억원의 회사채가 만기가 다가온다. 현대상선(7400억원), 한진해운(5800억원), STX팬오션(4000억원)이 상환을 앞두고 있지만 건설업종의 우려보다 심하지는 않다는 분위기다.

지난해 중견건설사의 연쇄부도사태 이후 도매금 취급을 받는 건설업계에서는 우량기업마저 외면받는 일이 늘고 있다.

최근 3800억원 규모의 회사채 발행을 시도한 GS건설의 경우 신용등급 AA-와 그룹 계열사이 지원 가능성, 민평금리 대비 높은 발행금리에도 불구하고 지난달 31일 진행된 수요예측에서 기관투자가가 1200억원 참여하는 데 그쳤다.

상황이 이렇다보니 자산을 팔아 급전을 마련하는 기업 중에는 대기업이나 그룹 계열사도 예외가 아니다. 상황이 이러하니 시장에서는 이런 추세가 올해 내내 계속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이런 흐름이라면 투자수요가 위축된 A등급 이하 회사채 만기가 몰릭 시작하는 2분기부터 중견중소기업발 신용대란이 국내경기 회복세의 발목을 잡을 수 있다고 경고했다.

올해 만기가 돌아오는 A등급 이하 회사채는 전체 44조원의 절반을 넘는 24조원 규모다.

NH농협증권 관계자는 “올해 만기가 도래하는 회사채 규모는 작년과 비슷한 수준이지만 A등급 이하 업체 중 특정업체는 리스크가 있다”며 “금융감독 주도아래 주채권은행의 역할을 강화해 차환부담이 큰 일부업체들의 재무구조를 개선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A등급 시장 양극화의 원인을 고려할 때 시장 경색을 해소하기 위한 정책적 자금지원은 근본적인 해결책이 아닌 대증적 요법에 그칠 소지가 크다.

A등급 시장에서 금리가 급등하고 있는 조선·건설·해운업종 등의 한계기업의 경우 단지 유동성 위기를 겪고 있기보다는 근본적인 사업전망이 어두운 것으로 우려되기 때문이다.

결국 한계기업의 구조조정은 피할 수 없을 것이기 때문에 정책 대응은 재무건전성이 양호한 기업이 다른 한계기업으로 인해 받는 악영향을 최소화하는 쪽으로 접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신용평가사가 재무구조가 악화된 한계기업의 신용등급을 적시에 하향조정함으로써 시장 신뢰를 회복하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신용평가 참고자료 목록 공시, 신용평가사 실적 공시 제고, 신용평가사 감독 강화 등을 검토해 볼 필요가 있다.

다른 한편으로 계열사 지원을 배제한 기업의 독자적 신용등급을 공개하여 계열사 지원과 관련한 시장 불확실성을 제거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무엇보다 글로벌 신용평가사가 하고 있는 것처럼 계열사 지원을 배제한 독자신용등급을 병행하여 부여하도록 하는 ‘독자신용등급 제도’를 속히 마련할 필요가 있다.

'독자 신용등급 제도'가 도입되면 자체 생존력이 부족한 일부 기업들은 스프레드가 상승하겠지만 거꾸로 자체 재무구조가 탄탄한 A등급, BBB등급 기업의 조달금리는 하락할 것으로 기대된다.

신한금융투자 관계자는 “기업의 자금조달 창구로 제 기능을 하기 위해서는 투자가능 등급인BBB까지 물량이 소화될 수 있어야 한다”며 “자금난을 겪는 대기업이나 중소기업에 유동성의 물꼬를 터주는 게 균형성장에 가장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