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통합당 문재인 대선후보는 26일 서울 용산구 효창공원을 방문해 백범 김구 선생과 안중근 의사 묘역 등에 헌화ㆍ분향했다.
이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아버지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 33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것과 대비되는 행보로,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올바른 역사 인식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정수장학회 문제로 과거사 논란에 휩싸인 박 후보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문 후보가 이날 트위터에 "안중근 의사 의거 103주년입니다. 나라의 독립을 지키고자 했던 선열의 역사나 정신을 기억하고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라는 글을 올린 것도 이런 분석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외견상 박 전 대통령 서거일보다 안중근 의사 의거일에 더 무게를 둔 듯한 모양새다.
물론 문 후보는 "(오늘은) 현대사에서 꼭 기억해야 하는 1979년 비극의 역사가 있었던 날이기도 합니다. 역사는 미래를 위해 과거를 잊지 않고 되새기는 것입니다"라는 글도 올렸다.
문 후보는 애국지사 묘역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애국선열의 넋을 기리고 역사를 기억해야 제대로 된 현재와 미래가 있다"며 "일정상 미루다가 오늘에서야 참배를 왔는데 비로소 도리를 다한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독립에 애쓴 선열의 정신을 잘 잇고 발전시켜야 하는데 해방 후 친일청산도 제대로 못 한 아쉬움이 있다"며 "나라를 되찾는 데 앞장선 임시정부 요인의 공동 묘역 조성과 기념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는 새누리당 박근혜 대선후보가 아버지 고(故) 박정희 전 대통령 33주기 추도식에 참석한 것과 대비되는 행보로,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올바른 역사 인식의 중요성을 부각시킴으로써 정수장학회 문제로 과거사 논란에 휩싸인 박 후보를 겨냥한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문 후보가 이날 트위터에 "안중근 의사 의거 103주년입니다. 나라의 독립을 지키고자 했던 선열의 역사나 정신을 기억하고 발전시켜 나가겠습니다"라는 글을 올린 것도 이런 분석과 무관치 않아 보인다.
외견상 박 전 대통령 서거일보다 안중근 의사 의거일에 더 무게를 둔 듯한 모양새다.
물론 문 후보는 "(오늘은) 현대사에서 꼭 기억해야 하는 1979년 비극의 역사가 있었던 날이기도 합니다. 역사는 미래를 위해 과거를 잊지 않고 되새기는 것입니다"라는 글도 올렸다.
문 후보는 애국지사 묘역 참배 후 기자들과 만나 "애국선열의 넋을 기리고 역사를 기억해야 제대로 된 현재와 미래가 있다"며 "일정상 미루다가 오늘에서야 참배를 왔는데 비로소 도리를 다한 것 같다"고 소감을 밝혔다.
그는 "우리나라 독립에 애쓴 선열의 정신을 잘 잇고 발전시켜야 하는데 해방 후 친일청산도 제대로 못 한 아쉬움이 있다"며 "나라를 되찾는 데 앞장선 임시정부 요인의 공동 묘역 조성과 기념관 건립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