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황식 국무총리는 독도 주변 해양과 자원에 대한 '한일 공유론'을 주장한 기고문으로 논란을 일으킨 김태우 통일연구원장에 대해 "경위를 따져서 책임을 묻겠다"고 밝혔다.
김 총리는 이날 국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의 종합정책질의 자리에 출석해서 "김 원장은 통일연구원장이 아닌 친일 연구원장과 같은데 응분의 조치를 취하겠느냐"는 민주통합당 최재성 의원 등의 질문에 "용납할 수 없는 주장"이라며 "경위를 더 파악해 해명이 되지 않는 이상 일단의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그러자 김 원장은 이날 오후 해명자료를 내고 "우리 정부 조치의 타당성을 설명하고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기 위해 작성한 글이 본의가 아닌 방향으로 오해를 초래한 사실에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추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사과했다. 그는 "민감한 시기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글을 게재한 사실에 대해 반성한다"고 했다.
김 원장은 전날 통일연구원 홈페이지에 '한일 외교전쟁 조속히 매듭지어야'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한일 간 분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독도 주변 해양 및 해저자원을 양국이 공유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바다의 명칭을 놓고 '동해'와 '일본해'로 싸울 것이 아니라 보다 중립적인 명칭, 예를 들어 '창해(滄海·넓고 큰 바다)' 같은 것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 원장은 어제 독도 주변 해양과 해저자원을 양국이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기고문을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삭제했다.
그러자 김 원장은 이날 오후 해명자료를 내고 "우리 정부 조치의 타당성을 설명하고 일본의 반성을 촉구하기 위해 작성한 글이 본의가 아닌 방향으로 오해를 초래한 사실에 대해 매우 송구스럽게 생각한다"며 "추후 유사한 문제가 발생하지 않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고 사과했다. 그는 "민감한 시기에 오해의 소지가 있는 글을 게재한 사실에 대해 반성한다"고 했다.
김 원장은 전날 통일연구원 홈페이지에 '한일 외교전쟁 조속히 매듭지어야'라는 제목의 글을 통해 "한일 간 분쟁을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독도 주변 해양 및 해저자원을 양국이 공유하는 방안 등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바다의 명칭을 놓고 '동해'와 '일본해'로 싸울 것이 아니라 보다 중립적인 명칭, 예를 들어 '창해(滄海·넓고 큰 바다)' 같은 것을 검토해 볼 수 있다"고 제안했다.
김 원장은 어제 독도 주변 해양과 해저자원을 양국이 공유하는 방안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는 기고문을 홈페이지에 올렸다가 삭제했다.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