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사담당자 72.3%, “이력서 취미, 특기란 눈여겨본다”
인사담당자 72.3%, “이력서 취미, 특기란 눈여겨본다”
  • 박기연 기자
  • 승인 2011.03.29 09: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력서 취미특기란을 보는 구직자와 인사담당자의 생각이 확연히 다른 것으로 나타났다.

취업·인사포털 인크루트가 구직자 441명과 기업 인사담당자 110명을 대상으로 ‘이력서에 취미, 특기란’에 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구직자의 63.7%가 별다른 차별점이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다고 답한 반면 인사담당자의 72.7%는 지원자의 취미, 특기란을 눈여겨보고 있다고 답한 것이다.

먼저 구직자에게 이력서 항목의 취미·특기란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고 있는지 물었다.

10명 중 6명(63.7%)이 천편일률적인 취미·특기로 별다른 차별점을 찾을 수 없기 때문에 불필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었으며, 남성(57.9%)보다는 여성(76.1%) 더 불필요하다고 여기고 있었다.
실제로 대다수인 72.3%의 구직자는 매번 같은 취미특기를 적고 있다고 답했으며, 지원직무에 맞게 바꿔 적거나(15.0%) 회사 특징에 맞게 바꿔 적는(9.5%) 비율은 낮았다.

하지만 구직자가 불필요하다고 느끼는 취미·특기를 인사담당자는 꼼꼼히 확인하고 있었다.

기업 인사담당자 110명에게 지원자의 이력서 취미, 특기란을 눈여겨보느냐는 물어보니 응답자의 72.7%가 그렇다고 답했다. 지원자를 평가하는 중요한 보조자료로 활용하고 있다는 얘기다.

인사담당자는 취미특기 항목을 서류전형(49.1%)단계에서 많이 검토한다고 답했으며, 실무진 면접(34.5%) 임원면접(7.3%)순이라고 응답했으며 거의 보지 않는다는 응답은 9.1%였다.

한편, 구직자들은 취미에는 ‘영화감상’을 특기에는 고민상담’을 가장 많이 기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어 취미로는 ▶‘독서’(15.45) ▶ 음악감상, 노래부르기(13.4%) ▶ 축구,야구,농구 등 구기운동(9.8%) ▶ 여행(9.5%) ▶ 등산(6.8%)순의 응답을 많이 기재한다고 답했으며, 특기로는 ▶ ‘고민상담’(18.1%) ▶ 축구,야구,농구 등 구기운동(14.1%) ▶ 홈페이지 운영, 게임 등 컴퓨터 관련 특기(12.9%) ▶ 노래 부르기(9.3%)를 흔히 기재한다고 답했다.

성별로 나눠보니 남녀 모두 취미란에 ▶‘영화감상’(14.0%,19.7%)을 가장 먼저 꼽았으며, 뒤이어 남성은 ▶‘축구,야구,농구 등 구기운동’(13.7%)를 여성은 ▶‘독서’(19.7%)가장 많이 적는다고 답했다. 특기란에는 남성은 ▶ 축구,야구,농구 등의 구기운동(18.7%)으로 건강한 체력과 활동성을 어필했으며,여성은 ▶ 커뮤니케이션 능력과 친화력를 어필하는 ‘고민상담’을 많이 기재한다고 답해 차이를 보였다.

인크루트 이광석 대표는 “기업은 간접적으로나마 지원자의 열정과 목표의식을 볼 수 있는 지표의 하나로서, 또 일과 생활의 균형을 잘 잡을 수 있는 인재인지를 판단하기 위해 취미와 특기란도 유심히 살핀다”고 말했다. 덧붙여 이 대표는 “취업을 위해서라기보다는 취업 후 직장생활에서 보다 윤택한 삶을 위해서라도 자신에게 맞는 취미, 특기 하나 정도는 가지는 게 좋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 서울특별시 마포구 합정동 386-12 금성빌딩 2층
  • 대표전화 : 02-333-0807
  • 팩스 : 02-333-0817
  • 법인명 : (주)파이낸셜신문
  • 제호 : 파이낸셜신문
  • 주간신문   
  • 등록번호 : 서울 다 08228
  • 등록일자 : 2009-4-10
  • 발행일자 : 2009-4-10
  • 간별 : 주간  
  • /  인터넷신문
  •   등록번호 : 서울 아 00825
  • 등록일자 : 2009-03-25
  • 발행일자 : 2009-03-25
  • 간별 : 인터넷신문
  • 발행 · 편집인 : 박광원
  • 편집국장 : 임권택
  • 전략기획마케팅 국장 : 심용섭
  • 청소년보호책임자 : 임권택
  • Email : news@efnews.co.kr
  • 편집위원 : 신성대
  • 파이낸셜신문 모든 콘텐츠(영상,기사, 사진)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와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 Copyright © 2025 파이낸셜신문. All rights reserved.
인터넷신문위원회 ND소프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