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이 진정한 철도기술 메카됐으면 좋겠다" |
|
이명박 대통령은 1일 "이제 도로는 한계에 와있다고 생각하고 철도를 통해 전국을 1시간반 거리 시대로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이 대통령은 이날 경기도 의왕시 월암동 철도기술연구원에서 열린 ktx 고속철도망 구축전략 보고회의에 참석해 이같이 말하고 "단순히 경제적 효과뿐 아니라 미래 녹색성장 시대 기후변화에 대비하는 큰 전략이라고 할 수 있다"고 밝혔다. 이어 "우리나라뿐만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가 고속철도 기술경쟁 시대에 와 있다. 항공에 의존했던 미국도 철도에 관심을 갖고 투자하기 시작했다"며 "대한민국에 철도망을 구축하는 것은 세계시장과 함께 하는 자세로 준비가 돼야 한다. 우리나라가 진정한 철도기술의 메카가 됐으면 좋겠다고 생각한다"고 강조했다. 이 대통령은 "유럽 정상들은 고속도로를 만든다는 것은 불가능하다고 한다. 그분들이 철도시대를 열고 수상운송을 하는 것에 대해 논의하는 것을 봤다"면서 "(우리는) 아직도 도로에 많이 의존하고 있다. 어떻게 하면 경제효과를 거둘 수 있는 최고의 기술을 마련할 수 있을 것인가 (고민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대통령은 "1970년대 초 남의 기술을 갖고 조립으로 시작했지만 지금은 우리 기술을 가지고 세계 5대 자동차 국가가 됐다"며 "요즘 세계 시장이 어려울 때 한국자동차가 나가듯이 철도기술이 세계시장에 나갈 시대가 올 것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세상만사 모든 일이 양면이 있듯이 국가사업도 긍정적, 부정적인 측면이 있다"며 "그러나 부정적 측면을 너무 확대해석하면 할 수 있는 일이 없다. 긍정적 측면을 보면서 일을 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서울시장 시절 버스중앙차로 도입과 관련한 일화를 언급, "어떤 새로운 일을 하려면 역발상도 필요하다. 철도산업도 전세계와 경쟁하는 만큼 글로벌한 관점에서 일해달라"며 "조만간 철도가 북쪽을 거쳐 러시아와 중국으로 가는 시대가 곧 올 것"이라고 말했다. 강만수 국가경쟁력강화위원장도 이 자리에서 "고속철도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으로 전국을 단일생활권으로 만들 수 있다. 효율적 투자로 새로운 일자리 창출도 할 수 있다"며 철도기술 경쟁력 강화의 필요성을 지적했다. 이날 회의에는 정종환 국토해양부 장관, 곽승준 미래기획위원장, 양수길 녹색성장위원장, 최상철 지역발전위원장, 허준영 한국철도공사 사장, 백용호 청와대 정책실장, 최중경 경제수석, 홍상표 홍보수석, 김희정 대변인 등이 참석했다. |
저작권자 © 파이낸셜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