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축은행중앙회는 지주계열 저축은행 8개사(BNK·IBK·KB·NH·신한·우리금융·하나·한국투자)와 업계 선도적으로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 상호간 협약을 체결했다고 31일 밝혔다.
중앙회는 그간 정책·감독 당국 등 관계기관과 '저축은행 연체채권 정리 관련 제도개선 TF'를 통해 저축은행 업계의 건전성 제고와 취약차주 상생 방안에 대해 논의해왔다.
그 결과, 지난해 12월부터 지주계열 저축은행과 협의체를 구성하여 보유 중인 부실채권을 적극 해소하고 채무조정을 활성화하는 등의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해당 방안의 주요 내용으로 새출발기금 등 채무조정 제도에 대한 인지도 및 이를 통한 취약차주의 채무조정 접근성 제고를 위해 홍보 활동을 한층 더 강화한다.
또, 저축은행 자체 채무조정 활성화를 통해 취약차주의 상환 능력을 감안한 채무부담 완화 조치를 시행함과 동시에 가능한 조속한 시기에 보유중인 부실채권 수준을 최대한 안정화해 저축은행의 경영 건전성 강화 및 신뢰도 제고를 도모한다.
저축은행은 효율적인 부실채권 관리를 위한 조직 운영을 위해 부문별 전담·정리 체제를 구축하고, 개인·기업 파트별 리스크 대응 전문성을 제고하는 등 건전성 관리 역량 강화를 추진한다.
아울러 합리적인 수준의 '연체율 관리목표 산정 체계'를 마련함으로써 리스크 대응 및 경영전략도 수립한다.
중앙회는 이번 공동 협약체결을 통해 저축은행업권이 건전성 관리 강화 방안을 충실하게 이행하여 건전한 경영을 해나가겠다는 의지를 표명했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서민과 중소상공인 등 거래자가 안심하고 저축은행을 믿고 이용할 수 있도록 최대한 노력하겠다고 전했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