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식 검색도 AI와"…네이버, 대화형 '지식인터랙티브' 선보여
자연스러운 대화부터 3D·AR 등 다차원 인터랙션으로 생동감 높인 검색 사용성 제공 네이버 검색에 녹아있는 AI 기술 고도화로 더욱 진화된 대화형 AI 모델 선보여 네이버, "최신 기술 개발과 상용화 앞장서며 AI기술 경쟁 주도권 이어갈 것"
AI(인공지능)와 사람처럼 대화하듯 질문하며 원하는 정보를 검색할 수 있는 첨단 검색 서비스가 네이버를 통해 선보였다.
네이버는 초대규모 AI 하이퍼클로바를 비롯해, 네이버의 에어서치 AI 기술을 더욱 고도화한 대화형 AI 모델이 접목된 '지식인터랙티브' 서비스를 출시했다고 18일 밝혔다.
네이버는 AI와 대화하고, 3D 모델에 명령하고, AR로 현실공간에서도 정보를 보며, 사용자와 인터랙션 하는 진화된 검색 사용성을 제공한다는 계획이다.
네이버 '지식인터랙티브'의 가장 큰 장점은 일상의 용어로 질문해도 AI가 이를 이해하고, 전문 정보를 찾아주는데 있다. 특히 AI가 검색어에 이입해 마치 직접 답변하는 것처럼 구현되기 때문에, 사용자 입장에서는 실제 대화를 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받아 더욱 실감나는 대화가 가능하다.
아울러, 네이버는 검색대상을 3D 모델로 구현하고, 이를 WebXR 기반의 AR 기능까지 제공해 사용자에게 더욱 생동감 넘치는 검색 경험을 제공한다. 네이버는 우선 티라노사우루스를 시작으로, 사용자들이 자주 검색하는 공룡군을 대상으로 서비스를 제공하고, 향후 주제군을 점진 확대할 예정이다.
네이버는 AI 답변의 출처를 알려주는 최신 AI 기술도 서비스에 접목하며, 대화형 검색 AI 모델 경쟁력을 한층 강화했다. '지식인터랙티브'는 지난 해 소개한 새로운 검색 브랜드 '에어서치'의 일환으로, 향후 다양한 형태를 지닌 스마트블록으로 발전해 갈 계획이다.
최신 AI 기술이 녹아있는 '지식인터랙티브'에서는 자연스럽게 대화하듯 검색을 이어갈 수 있을 뿐만 아니라, AI가 답하는 정보의 근거와 출처도 함께 확인할 수 있다. '지식인터랙티브'는 정해진 답변을 학습하는 형태가 아니기 때문에 폭넓은 질의에 대한 대응이 가능하다는게 네이버의 설명이다.
또한, 사용자의 질의의도를 파악해 지식백과 등 검증된 출처 내 문서에서 적절한 답변을 찾고, 그 답변을 뒷받침할 수 있는 문서와 구절을 추출한 후, 연관된 내용인지 팩트체크를 거쳐 검증한 내용을 답변 하단에 참고자료로 제시한다. 사용자는 참고자료를 통해 출처를 확인하고 추가 정보도 탐색할 수 있다.
네이버 서치 CIC 현동석 책임리더는 "'지식인터랙티브'를 통해 기존에 제공되고 있는 지식백과 등 지식베이스 기반의 검색 컨텐츠가 최신 AI 기술을 만나 사용자의 정보검색을 더욱 실감나게 도울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파이낸셜신문=황병우 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