폭스바겐, 독일서 '보상판매 방안' 검토중
회사측 “국토부와 환경부 조사가 끝나야 알 수 있다”
2015-10-26 박지용 기자
폭스바겐그룹이 독일에서 배출가스 조작 소프트웨어가 설치된 차량의 차주 중 1.6ℓ 엔진을 장착한 차량을 대상으로 보상 판매하는 방안을 신중히 검토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25일(현지시간) DPA 통신에 따르면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폭스바겐은 해당 차량의 차주가 신차 구입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보상판매 방안을 논의 중이며 최종 결정된 단계는 아니다”고 전했다.
이번 보상판매는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 교체가 필요한 1.6ℓ 엔진 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폭스바겐그룹은 소형·대형 엔진이 장착된 차량은 소프트웨어만 수리하면 되지만 1.6ℓ 엔진 차량의 경우 부품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폭스바겐그룹이 보상 판매 방안을 시행하게 되면 자사의 판매 유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수리를 해야 하는 판매 대리점의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연합(EU) 28개국에서 폭스바겐그룹이 리콜할 디젤 차량은 850만대이며, 이 중 독일 리콜대상 차량은 240만대에 달한다. 고객들 입장에서는 리콜까지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폭스바겐 코리아 관계자는 “보상 판매는 독일서도 아직 검토중인 사안이고 국내 보상판매는 아직 국토부와 환경부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관련 조사가 끝난 상태가 아니라 말씀드릴 수 없다. 11월 안에 조사가 끝나는 데로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만 하더라도 폭스바겐·아우디 차량 구매자들의 소송 대리인 법무법인 바른이 최근 미국의 강력한 법무법인들과 손잡고 폭스바겐과 아우디 본사 법인과 미국 내 현지 생산 법인 등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국내 집단소송 대상 차량은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 12만 5000대에 해당하며, 이들 차량들을 대표해 2명의 원고 대표가 소송을 진행하게 될 예정이다.
이처럼 폭스바겐그룹이 소비자를 속여 배기가스를 조작한 것에 대한 신뢰와 이에 대한 배상에 대해서는 사태 여파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25일(현지시간) DPA 통신에 따르면 소식통을 인용해 이같이 보도했다. 이 소식통은 “폭스바겐은 해당 차량의 차주가 신차 구입 시 할인 혜택을 제공하는 보상판매 방안을 논의 중이며 최종 결정된 단계는 아니다”고 전했다.
이번 보상판매는 소프트웨어뿐 아니라 하드웨어 교체가 필요한 1.6ℓ 엔진 차량을 대상으로 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앞서 폭스바겐그룹은 소형·대형 엔진이 장착된 차량은 소프트웨어만 수리하면 되지만 1.6ℓ 엔진 차량의 경우 부품 자체를 교체해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폭스바겐그룹이 보상 판매 방안을 시행하게 되면 자사의 판매 유지에 기여할 뿐 아니라 수리를 해야 하는 판매 대리점의 부담도 줄어들 것으로 기대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유럽연합(EU) 28개국에서 폭스바겐그룹이 리콜할 디젤 차량은 850만대이며, 이 중 독일 리콜대상 차량은 240만대에 달한다. 고객들 입장에서는 리콜까지 장시간 기다려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폭스바겐 코리아 관계자는 “보상 판매는 독일서도 아직 검토중인 사안이고 국내 보상판매는 아직 국토부와 환경부의 배출가스 저감장치 조작 관련 조사가 끝난 상태가 아니라 말씀드릴 수 없다. 11월 안에 조사가 끝나는 데로 홈페이지를 통해 공지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내만 하더라도 폭스바겐·아우디 차량 구매자들의 소송 대리인 법무법인 바른이 최근 미국의 강력한 법무법인들과 손잡고 폭스바겐과 아우디 본사 법인과 미국 내 현지 생산 법인 등을 상대로 집단소송을 제기한 바 있다.
국내 집단소송 대상 차량은 폭스바겐과 아우디 차량 12만 5000대에 해당하며, 이들 차량들을 대표해 2명의 원고 대표가 소송을 진행하게 될 예정이다.
이처럼 폭스바겐그룹이 소비자를 속여 배기가스를 조작한 것에 대한 신뢰와 이에 대한 배상에 대해서는 사태 여파가 계속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