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병덕 의원 "상반기 저축은행 대출잔액 110조원…금리부담 완화 시급"
올 상반기 저축은행 전체 대출 잔액이 110조원 규모로 2017년 대비 58조원이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23일 국회 정무위원회 소속 더불어민주당 민병덕 국회의원(안양시동안구갑)이 예금보험공사로부터 제출받은 자료에 따르면, 올 6월 말 기준 저축은행 대출잔액은 109조4천억원으로, 이중 기업 대출 잔액이 65조1천억원, 개인신용 대출잔액은 28조4천억원이다.
저축은행 전체대출, 기업대출 및 개인신용대출 잔액 연도별 현황 (단위 : 조 원)
저축은행 전체 대출잔액은 2017년부터 2019년까지 13조8천억원(51조2천억원 → 65조원)으로 평균 6조9천억원이 상승했다. 특히, 코로나19가 시작된 2020년부터 2022년까지 37조4천억원(77조6천억원 → 115조원)이 폭등했다. 이는 2017년 대비 63조8천억원 차이다.
올 상반기 기업 대출 잔액은 65조1천억원으로 2017년(29조원) 대비 2배가 넘는 수준이다. 개인신용 대출잔액도 28조4천억원으로 2017년(9조5천억원) 대비 3배가 증가했다.
민병덕 의원실은 코로나19와 3고(고물가·고금리·고환율)가 맞물리며, 금융기관 대출로 버텨온 자영업자와 중·저신용자들이 더 이상 원리금을 감당하지 못해 대출액이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예보가 제출한 '저축은행별 개인신용대출 연도별 잔액 현황' 자료에 따르면 SBI저축은행이 6조3천760억원으로 가장 많았고, OK저축은행(4조7천29억원), 페퍼저축은행(2조1천222억원), 웰컴저축은행(1조6천83억원), 한국투자저축은행(1조3천723억원) 순으로 뒤따랐다.
올 상반기 기준 5대 저축은행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16조1천817억원으로 총대출잔액(28조4천억원) 중 57%를 차지했다.
5개 저축은행의 상반기 개인신용대출 잔액은 16조1천817억원은 최근 7년 중 대출잔액이 가장 높았던 2022년(16조7천519억원)에 육박한 수치다. 일각에서는 코로나 이후 제1금융권 대출 규제가 강화되면서, 제1금융권 대비 대출 이자는 높지만, 비교적 대출 절차가 간편한 제2금융권으로 내몰리고 있다고 비판하고 있다.
민병덕 의원은 "올 5월, 3년 4개월 만의 코로나 엔데믹이 선언됐지만, 사회적·경제적 측면에서도 엔데믹이 맞는지 살펴볼 필요성이 있다"며 "금융위원회가 중·저신용자의 대출 금리 부담을 줄여주는 방안을 마련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파이낸셜신문=임영빈 기자]
5대 저축은행별 개인신용대출 연도별 잔액 현황 (단위 : 억 원)